Skip to main content
1
/upload/exhibitions/1e8c560d8931051c39b82782427ad241.jpg
Koo Bohnchang - Koo Bohnchang

Busan  

Koo Bohnchang Koo Bohnchang

December 14, 2018 – March 17, 2019

Introduction

Kukje Gallery is pleased to present Koo Bohnchang, a solo exhibition of work by the artist on view from December 14, 2018, through March 17, 2019, at the gallery’s Busan space. This marks Koo’s third solo exhibition at Kukje Gallery, seven years since his previous solo shows in 2011 and 2006. Featuring nineteen works, Koo Bohnchang includes six new photographs from his latest series Blue-and-white Porcelain Jar, shown in conjunction with a large-scale work titled Ritual Ware. In addition, the exhibition will include nine photographs from his signature series Vessels, first shown in the 2006 exhibition at Kukje Gallery. The eponymous solo exhibition will serve as a comprehensive introduction to the artist’s photographic œuvre of nearly three decades, providing an invaluable opportunity to experience Koo’s unique philosophy and evocative images.
 
During the course of his career, Koo's constant investigation into the possibilities of photography has played a pivotal role in establishing the medium as a major genre of contemporary art in Korea. Committed to using photography as a means to communicate with the world, the artist has continued to experiment and push the boundaries of the medium. While his work initially began as a reserved meditation on nature, it has evolved to encompass an expansive and ongoing project of viewing and reinterpreting Korean cultural artifacts through a modern lens. His best-known series Vessels explores the harmony between the white porcelain masterworks of the Joseon Dynasty (1392 – 1897), the camera, and the artist. The series in particular has played a seminal role in expanding his practice within the context of an artistic journey woven in coincidence and necessity.
 
Koo’s Vessels series has helped to shift the way in which Joseon Dynasty ceramics are read and recontextualized. Rather than merely depicting the white porcelain, Koo’s compositions offer a unique method of interpretation, using the photographic frame to reinterpret the shape of the vessels—breathing new life into their material and form. By allowing the imagination to impact our perception of the artifact, he removes the boundary between the image and its essence. Koo’s photographs are not taken under any special lighting nor framed as spectacular. Instead, the artist composes these objects in an aesthetically reserved manner, framing them as powerful and ambiguous; they may reflect the gaze of an anonymous ancestor looking at the vessel in natural light, or the gaze of a potter who dreams of the ideal vessel. It would not be an exaggeration to say that Koo’s photographs not only define the core beauty of each vessel, but also rediscover what was only partially recognized. The Vessels series rejects the stereotype that photographs must be defined by strict realism or mechanical perfection. This approach allows Koo to capture a wonderfully surreal aspect of these special works of art, exploring the blurred line between the subject (vessel) and its background (space). In this way his psychologically infused images capture a feeling of sentiment within a visual and tactile synesthesia, presenting a simultaneously flat and three-dimensional effect that brings them to life.
 
While the Vessels series highlights the beauty of negative space, irregularity, and imperfection, the Blue-and-white Porcelain Jar series, which will be exhibited for the first time since its creation in 2014, engages with the subjects of contemporary taste, desire, and value. The artist first came across the blue porcelain of the Joseon Dynasty during the 2014 exhibition titled In Blue and White: Porcelains of the Joseon Dynasty at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These exquisite objects historically served in a range of functions from jars for storing alcohol to bowls and dishes, as well as accessories used by scholars. Regardless of their role, they were both utilitarian and designed for appreciation. However, due to the incredibly high value of the imported blue pigment, a substance similar to the prized lapis lazuli of Ancient Mesopotamia, the vessels were once banned from being used outside the royal court and consequently had to be smuggled through envoys. Koo speculates that the reason for the purity and simplicity of Korean porcelain, as distinguished from the elaborate designs seen in Chinese and Japanese traditions, was not only the influence of Confucianism but also the lack of access to the precious pigment. It is this theory that has helped inform the austere beauty of Koo’s photographs. Like Vessels, the Blue-and-white Porcelain Jar series focuses on the subjectivity of these precious objects, and the way they engage a philosophy of wholeness and emptiness.
 
Koo Bohnchang's Vessels and Blue-and-white Porcelain Jar series both exemplify his view that, “[p]hotographs are a dividing line between existence and absence.” This view, in turn, is echoed by Roland Barthes who wrote in his book La Chambre Claire, “[p]hotographs are proof of existence”; the nature of the photographic medium itself is both proof of existence and proof of absence. Although the artifacts that Koo captures exist in the present through his viewfinder, he reminds the viewers of their past lives and asks the audience to consider the subjectivity of time. Since his early works like Good-bye Paradise (1993), Breath (1995), and Mask (2002), as well as the Gold series which began around the same time as Blue-and-white Porcelain Jar, Koo has demonstrated his continuing interest in exploring themes of existence and absence, fullness and emptiness. Despite the loss of links to these objects’ original owners, initial values, and contexts, the objects remain. The photographs capture this longevity, emphasizing the two main motifs of Koo’s work: time and impermanence in the human condition. The artist’s ongoing practice means that he journeys all over the world to locate and document different examples of white and blue porcelain, gold artifacts, and other objects of unique provenance.
 
In addition to the Vessels and Blue-and-white Porcelain Jar series, the exhibition will showcase Ritual Ware and Blue-and-white Porcelain Folding Screen. The large piece, Ritual Ware, installed at the entrance of the exhibition space welcomes the viewers into the exhibition. Directly opposite, mounted on top of a pedestal like a sculpture, Blue-and-white Porcelain Folding Screen further illuminates Koo’s deep affection towards the ordinary object. Peering through the empty spaces between the works, the viewer is struck by a universal emotion marked by our fading attachment to material possessions and the quiet moments of communication we have with everyday objects.
 
“Although it takes me a long time to observe, explore, imagine, and then finally photograph the vessels, the process is filled with joy. Examining the front and back of the porcelain, tracing the potter’s touch, and even following the brushstrokes of the glaze, you eventually connect with the maker through time and space. In that moment, one can begin to understand the history and people of that time. Objects are the languages of each particular period, but reading the white porcelain of the Joseon Dynasty in today’s language, I’m moved by the power of the past.”
– Koo Bohnchang

 

About the Artist
After graduating from Yonsei University as a Business Administration major, Koo Bohnchang earned his diploma in Photography at the Hamburg School of Art and Design in Germany. He has taught at Kaywon University of Art and Design, Chung-Ang University, and Seoul Institute of the Arts, and since 2010 has worked as a professor at Kyungil University. Since retirement, he has held an endowed-chair professorship.
 
In addition to participating in numerous group exhibitions, Koo has held major solo exhibitions in Korea and abroad, including Samsung Rodin Gallery (2001), Peabody Essex Museum, Salem (2002), Galerie Camera Obscura, Paris (2004), Kahitsukan, Kyoto Museum of Contemporary Art (2006), Goeun Museum of Photography (2007), Philadelphia Museum of Art (2010), Ivorypress, Madrid (2013), Villa Flor, Switzerland (2014), Dong Gang Museum of Photography (2014), and Civic Aquarium of Milan (2018). Throughout his career, Koo has received several notable awards, including the second Lee Myung-Dong Photography Award (2000), Gangwon Documentary Artist Award (2008), and the thirteenth Dong Gang Photography Award (2014). In 2015, he was recognized for his significant contribution to Korean photography with the 47th Republic of Korea Culture and Arts Award. His works are held in major museum collections, such as the British Museum, London; Museum of Fine Arts in Boston; Museum of Fine Arts, Houston; San Francisco Museum of Modern Art; Philadelphia Museum of Art; Carnavalet Museum, Paris; Guimet Museum, Paris; Herzog Foundation, Basel; Kahitsukan, Kyoto Museum of Contemporary Art;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Korea; and Leeum, Samsung Museum of Art.
국제갤러리는 2018년 12월 14일부터 2019년 3월 17일까지 부산점에서 구본창의 개인전 《Koo Bohnchang》을 개최한다. 지난 2006년과 2011년, 국제갤러리에서 열린 두 차례의 개인전 이후 7년 만에 열리는 이번 전시에서는 첫 전시 이후 대표작으로 부상한 <백자> 연작 9점을 비롯해 새롭게 선보이는 <청화백자> 연작 6점, 대형 <제기> 등 총 19점의 작품을 선보인다. 국제갤러리 부산점의 첫 번째 기획전이기도 한 이번 《Koo Bohnchang》전은 제목 그대로, 지난 30여 년 동안 작가가 자신만의 통찰력과 감성 그리고 표현력으로 일구어온 독창적인 작품 세계의 주제 및 현 경향을 만날 수 있는 기회다.
 
구본창은 사진 매체의 가능성을 끊임없이 모색하며, 국내에서 사진이 현대미술의 주요 장르로 확고하게 자리매김하는데 유의미한 역할을 해왔다. 세상과 소통하기 위한 방법으로 사진을 선택한 후 파격과 실험을 거듭하던 그는 자연을 향한 관조적 응시를 거쳐 한국의 전통문화를 현대적인 감각으로 재해석하는 작업에 이르게 된다. 그 중 2004년부터 진행하며 백자, 카메라, 작가의 완벽한 일체감을 보여준 <백자> 연작은 우연과 필연으로 직조된 구본창의 예술여정 중에서도 그의 작업세계를 확장하고 심화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 작품이다.
 
<백자> 연작이 문화와 국경을 초월해 꾸준히 조명 받는 이유는 조선 백자라는 사물을 읽고, 보고, 경험하고, 기억하는 방식 자체를 변화시켰기 때문이다. 그는 백자를 시각적으로 재현하거나 서술하는데 그치지 않고, 백자의 형태를 빌어 존재 자체를 담아내며 새롭게 해석하는 방식을 제시한다. 백자라는 일종의 유물에 상상이 개입할 여지를 제공함으로써, 백자의 이미지와 실체 간의 경계를 없애는 것이다. 구본창의 백자는 박물관 조명 아래에서 현대인의 시각으로 포착된 것이 아니다. 예컨대 자연광에 놓인 백자를 바라보는 무명의 선인(先人)들의 시선일 수도, 백자의 궁극적 이상향을 꿈꾸는 어느 도예가의 시선일 수도 있다는 점에서, 백자가 지닌 미의 본질을 정의할 뿐 아니라 막연히 알고만 있던 백자를 새로 발굴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대상(백자)과 배경(공간) 사이 흐릿한 경계선, 몽환적인 핑크 톤의 부유하는 듯한 느낌, 평면적인 동시에 입체적인 효과, 시각과 촉각의 공감각적 이미지 등 <백자> 연작의 형식적인 특징 역시 사실적, 기계적이라는 사진 매체의 고정관념을 뛰어넘어 백자가 자아내는 초현실적 경험의 출발점이자 결과물이다.
 
<백자> 연작이 순백자가 가진 여백, 비정형성, 불완전함의 아름다움 등을 조명한다면, 2014년에 작업한 이후 이번 전시에서 처음 공개되는 구본창의 <청화백자> 연작은 당대의 기호, 욕망, 가치 등의 화두를 서정적으로 풀어내며 존재를 강조한다. 작가는 지난 2014년 국립중앙박물관에서 본 《푸른 빛에 물들다》전을 계기로 조선 청화백자를 처음 인식했다. 청화백자는 궁중의 커다란 항아리 용준부터 주병이나 접시 같은 식기, 선비들이 애용한 문방구 소품에 이르기까지 ‘담는’ 역할과 감상의 대상 등으로 다양하게 활용되었다. 그러나 청화백자의 푸른색 안료는 고대 메소포타미아 지방의 귀한 보석이었던 청금석과 유사한 고가의 수입품이었기 때문에 한때 왕실 이외에서는 사용이 금지되기도, 사신을 통해 몰래 들여오기도 했다. 압도적이고 정교한 중국 청화백자, 조형적이고 세밀한 일본 청화백자와는 달리 조선 청화백자가 청아하고 소박하며 간결한 이유는 유교의 영향뿐 아니라 귀한 안료를 아껴야 했던 현실에서도 영향 받았을 거라는 예측을 바탕으로, 작가는 청화백자의 고유한 미감을 포착한다. <백자> 연작과 마찬가지로 대상을 중시하되 주관적인 시선으로 담은 <청화백자> 연작은 여백뿐 아니라 비움과 채움의 순환을 다룬다.
 
구본창은 <백자>와 <청화백자> 연작을 통해 “모든 사진은 존재와 부재의 갈림길이다”라는 작가 자신의 말을 스스로 증명한다. 롤랑 바르트가 자신의 저서 『밝은 방』에서 “모든 사진은 현존의 증명서다”라고 말했듯, 사진 매체의 속성 자체가 존재의 증명인 동시에 부재의 증거다. 구본창이 다루는 백자, 청화백자 등의 유물은 현재에 존재하지만, 그의 뷰파인더를 통해 과거에 존재했을 대상을 상기, 유추하게 하며 필멸과 불멸에 관한 사유의 세계로 우리를 이끈다. 존재와 부재, 채움과 비움 등에 대한 작가의 지속적인 관심은 초기작인 <굿바이 파라다이스>(1993) 연작, <숨>(1995) 연작, <탈>(2002) 연작 등은 물론 <청화백자>와 비슷한 시기에 시작된 <황금> 연작에서도 공히 발견된다. 소유한 사람도, 그의 욕망도, 그가 살던 시대도 사라지고 유물만 남은 상황을 오롯이 담은 구본창의 사진은 ‘시간성’, ‘덧없음’ 등 그의 작업 내면에 맥맥이 흐르는 주제를 강조한다. 그리고 전세계 곳곳에 흩어져 있는 백자, 청화백자, 황금 등을 촬영하고 부재와 존재의 증거를 찾기 위한 작가의 여정은 지금도 계속되고 있다.
 
이번 전시에서는 <백자>와 <청화백자> 연작뿐 아니라 <제기>, <청화병풍> 등도 함께 선보인다. 전시장 입구에 설치된<제기>는 대상의 크기로 형태를 구조적으로 극대화한 작품으로 자연스럽게 발걸음을 전시로 이끈다. 다른 한편 조각작품처럼 좌대 위에 설치된 <청화병풍>은 평소 오브제에 대한 구본창의 깊은 애정을 보여준다. 전시장의 작품 사이사이에 읽히는, 사라져가는 애틋한 것에 대한 관심, 불완전한 대상에 대한 친근함, 인간의 보편적인 감정을 읽어내는 삶의 통찰, 일상적 사물과의 고요한 교감의 순간 등은 이번 구본창의 개인전에 전제된 가장 기본적인 정서다.

청화백자를 만나 관찰하고, 탐구하고, 상상하고 사진으로 담기까지의 시간은 오래 걸리지만 행복한 여정이다. 백자의 앞, 뒤태를 살피고 도공의 손길을 감지하고 화공의 붓질을 따라가다 보면, 결국 그것을 만든 이들과 시공을 초월하여 조우하게 된다. 그러면서 그 시대 우리 민족의 상황과 삶의 태도를 읽게 되는 것이다. 모든 사물은 그 시대의 언어이지만, 지금 조선 청화백자를 눈 앞에 두고서 현재의 언어로 다시 읽다 보니 오래된 것들의 힘에 절로 감복하게 된다.”
구본창
 
 
작가 소개
구본창은 연세대 경영학과 졸업 후 독일 함부르크 조형미술대학에서 사진 디자인을 전공, 디플롬 학위를 취득했다. 이후 계원예대, 중앙대, 서울예대 등에서 강의를 하였고, 2010년부터 경일대학교 사진영상학부에서 교수로 재직하여 최근 정년퇴임 후 석좌교수로 재직 중이다. 삼성 로댕갤러리(2001), 미국 피바디 에섹스 뮤지엄(2002), 프랑스 갤러리 카메라 옵스큐라(2004), 교토 카히츠칸 미술관(2006), 부산 고은사진미술관(2007), 미국 필라델피아 미술관(2010), 스페인 아이보리프레스(2013), 스위스 빌라 플로르(2014), 동강사진박물관(2014), 이탈리아 아쿠아리오 시비코 밀라노(2018) 등 국내외에서 주요 개인전을 가졌고 다수의 그룹전에 참여했다. 수상 내역으로는 제2회 이명동 사진상(2000), 강원다큐멘터리 작가상(2008), 제13회 동강사진상(2014)이 있으며, 2015년에는 한국 사진 예술에 대한 공로를 인정받아 ‘제47회 대한민국문화예술상’ 미술 부문(대통령 표창)에 선정되는 영예를 안았다. 구본창의 작품은 런던 영국박물관, 보스턴 미술관, 휴스턴 미술관, 샌프란시스코 현대미술관, 필라델피아 미술관, 파리 카르나발레 박물관, 파리 기메 미술관, 바젤 헤르조그 재단, 교토 카히츠칸 미술관, 국립현대미술관, 삼성미술관 리움과 같은 전세계 유수의 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다.

Installation Views

Works

Selected Press

2019-02-00 Noblesse
2019-02-00 VOGUE
2019-01-00 ASIANA
2019-01-00 HARPERS BAZAAR
2019-01-00 LUXURY
2019-01-00 Magazine O
2019-01-00 W
흩어진, 잊혀진, 남겨진   pdf Noblesse
구본창 미개봉작   pdf VOGUE
조선 백자 표면처럼, 시간의 상처 견뎌낸 것이 가치 있다   pdf 중앙선데이
Photographer finds beauty in vestiges of time: Koo Bohnchang has long been interested in traces of history   pdf The Korea Joongang Daily
구본창展 (국제갤러리 부산점)_20181214   pdf CHOO PO's ATELIER
Clipping AGENDA   pdf ASIANA
궁극의 아름다움   pdf HARPERS BAZAAR
AGENDA   pdf LUXURY
구본창 개인전   pdf Magazine O
Grooming history against the grain: photographs by Koo Bohnchang   pdf PUBLIC ART
유물과의 교감   pdf W
구본창 개인전 <Koo Bohnchang> 개최   pdf 미술세계
청화 백자가 품은 세월을 포착하다   pdf 매일경제
결을 거슬러 역사를 솔질하기: 구본창의 사진들   pdf PUBLIC ART
'사진시장 쌍두마차' 구본창·이명호 미학 대결   pdf 한국경제
"한때 가족이었으나 흩어진 백자들...이만하면 상봉 이뤘다 싶죠"   pdf 연합뉴스
[전시 영상톡] "백열등과 한지가 빚어낸 살굿빛 백자"...구본창 개인전 국제갤러리 부산점   pdf 아주경제
[이사람·사진작가 구본창] "서민의 탈·백자 항아리...'한국적 美' 렌즈에 담죠"   pdf 서울경제
[이사람·사진작가 구본창] "고운 면에 감싸인 도자기...자연의 아름다움 생생히 표현"   pdf 서울경제
사람 대하듯 교감...도자기만의 고유한 미감 포착   pdf 대구신문
백자의 재해석... '숨은 빛'을 담다   pdf 문화일보
[사진 예술가 구본창 개인전] 그대들이 전하는 말, 가슴에 담아가리다   pdf 부산일보
Photographer's journey highlights beauty of Korean porcelains   pdf The Korea Herald
폐공장에서 피어난 청화백자의 아름다움...'구본창' 전   pdf news 1
새롭게 해석한 '백자'... 그 아름다움에 관하여    pdf 국제신문
"청화백자에 온기를 살짝 넣으니 조선 여인네가 드러나네요" 구본창 도자기 사진   pdf 이코노미톡뉴스
사진작가 구본창 "청화백자 보며 오래된 것들 힘에 감복"   pdf 뉴시스
[e-포토] 7년 만에 개인전에 청화백자 선보인 구본창 작가   pdf 이코노미톡뉴스
국제갤러리 부산점 구본창 개인전 개최   pdf 매일신문
구본창 작가 개인전, 백자·청화백자 연작 등 작품 30여점 선보여   pdf 경상일보
국제갤러리 부산점 첫 기획전시, '백자·청화백자 작가' 구본창 개인전   pdf 뉴스핌
국제갤러리 부산, 구본창 개인전 개최   pdf 리더스경제
국제갤러리 부산점 첫 기획전...'구본창 개인전'   pdf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