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1
/upload/exhibitions/3e85fa8780221f30649fe46df0901dfc.jpg
Park Chan-wook - 너의 표정(Your Faces)

Busan  

Park Chan-wook 너의 표정(Your Faces)

October 1 – December 19, 2021

Introduction

Whether it be landscape or still life, perhaps it is that I shoot all things as if shooting a portrait. I portray the status, character, life dynamics, current sentiment, and face of whoever has become the subject of my camera. This is how I communicate with all beings of the world.
– Park Chan-wook
 
Kukje Gallery is pleased to present Your Faces, an exhibition of photographic works by the film director Park Chan-wook at its Busan space from October 1 through December 19, 2021. In 2016, Park published The Handmaiden Photo Book, a compilation of photographs that the artist shot on site throughout his production of the film The Handmaiden. In 2017, the Park Chan-wook theater opened at CGV Yongsan, at the entrance of which he has since then, up until the present, curated a rotating exhibition of six photographs under the title Pantheism. Having as such consistently shared his photographic works with the public, Your Faces marks Park’s first solo gallery exhibition devoted to still images. It will include thirty-one works selected from a new catalogue of his photographic works being published by Eulyoo Publishing to launch in time for the opening of the show. Installed in a gallery environment designed to best enhance the subjects and including both traditionally framed prints as well as lightboxes, the exhibition will provide a rich experience of physically meeting the photographs.
 
In her introductory essay for the exhibition, the editor of film magazine Cine 21 Haery Kim introduces the reader to the photographer Park Chan-wook, writing, “Here is a storyteller freed from the confinements of storytelling.” For a film director (in)famous for his meticulous preproduction planning, photography serves as a medium allowing him to communicate with the world through vastly different dynamics. Park places his photography the furthest away from the fate of filmmaking, for which even the most seemingly raw scenes involve intricately artificial designs. As an “antidote” to his experiences in filmmaking, as the artist describes his photography practice, coincidence and spontaneity play crucial roles in his photographs.
 
The gallery presents contemporary art of many forms, but the essence of what it seeks with each presentation is the same. We lean on the art(ist) to lend us a new set of eyes, a new perspective, through which to gauge the current world we navigate. Here, Park pushes us to persistently reassess the standards of beauty. Even the most mundane landscape of the everyday dons a different face each moment, and as we look into a photograph permanently documenting that fleeting instant, we discover an unfamiliar face of the most familiar object. Park, who as a commercial film director would have most astutely trained the ability to capture the sentiment of the times in his works, provides us the motive to proactively expand the realm of unexpected beauty within the most habitual scenes of our everyday.
 
As is noted in Kim’s essay, “Whether the object is a landscape, or a still life, or mere fragments that cannot be identified a specific name, Park Chan-wook manages to find out the eye of his subject. He makes eye contact and reads its face. He finds beauty in what does not seek to be beautiful and thus questions the boundary of beauty. For photographer Park Chan-wook, photogenic beauty is a fragile yet tenacious order that is veiled by the shadows of dominant value systems and conventional aesthetics, but that can be discovered with the aid of the camera if we are willing to briefly pause and respect the phenomenon itself.”
“어쩌면 풍경이고 정물이고 간에 모든 사물을 초상사진 하는 기분으로 찍고 있는지도 모르겠다. 피사체가 되신 그 분의 신분과 성격, 삶의 역정, 지금의 기분과 표정을 담아내는 것이다. 내가 세상만물과 나누는 대화의 방식이 이러하다.” – 박찬욱
 
국제갤러리는 오는 10월 1일부터 12월 19일까지 부산점에서 영화감독 박찬욱의 사진전 《너의 표정(Your Faces)》을 연다. 2016년에는 영화 <아가씨>를 만드는 동안 현장에서 직접 찍은 사진들을 엮어 『아가씨 가까이』라는 사진집을 내고, 2017년 개관한 서울 용산 CGV 아트하우스의 ‘박찬욱관’ 입구에는 《범신론》이라는 제목으로 넉 달에 한번씩 여섯 점의 사진을 교체 전시하는 등 그간 자신의 사진 작품을 조금씩 공개해온 박찬욱의 첫 갤러리 개인전이다. 같은 시기 발간되는 동명의 사진집(을유문화사 출간)에 실리는 그의 작품 중 30여 점을 선별해 인화하고, 전시공간을 디자인하고 라이트박스를 활용하는 등 전시 방식을 변주함으로써 사진 이미지의 물리적인 감상 경험을 풍성하게 제공하는 장으로 꾸려진다.
 
이번 전시의 소개글을 쓴 김혜리 씨네 21 편집위원은 “여기 스토리텔링의 구속에서 풀려난 이야기꾼이 있다”는 문장으로 박찬욱 사진작가에 대한 안내를 시작한다. 실질적인 촬영에 앞서 사전계획을 철저하고 구체적으로 하는 영화감독으로 알려진 박찬욱에게 사진이란 영화와는 전혀 다른 방식으로 세상과 소통할 수 있는 창구를 마련해주는 매체다. 가장 자연스러워 보이는 순간조차도 인공적으로 디자인해서 꾸며 내야 하는 영화의 숙명으로부터 박찬욱은 자신의 사진을 가장 멀리 떨어뜨려 놓는다. 작가 스스로 사진 작업은 지독히도 치밀한 영화 작업에 대한 ‘해독제’와 같은 역할을 한다고 표현할 만큼, 그의 사진에서는 우연과 즉흥성이 큰 몫을 한다.
 
갤러리는 다양한 모양새의 현대미술을 소개하지만 결국 기대하는 본질은 매번 같다. 우리는 그 미술(가)로부터 시대를 가늠하는 새로운 눈을 빌리고자 소망하고, 박찬욱은 우리에게 아름다움에 대한 기준을 꾸준히 새로이 고찰하도록 한다. 너무나 일상적인 풍경도 매 순간 다른 인상을 지니게 마련이고, 특정 순간의 빛과 바람 속 모습을 붙잡아 둔 사진을 들여다보며 관람객은 익숙한 사물의 생경한 표정을 발견해낸다. 상업 영화 감독으로서 작품에 시대성을 담는 감각을 그 누구보다 기민하게 단련해왔을 박찬욱은 오늘의 우리가 주변의 익숙한 풍경 속에서 예기치 못한 아름다움을 적극적이고 주체적으로 확장해나갈 단초를 제공해준다.
 
전시 소개글이 언급하듯, “대상이 풍경일 때도 정물일 때도 혹은 딱히 불리는 이름도 없는 잔해일 때도, 박찬욱은 피사체의 ‘눈동자’를 찾아낸다. 그렇게 눈을 맞춰 대상의 표정을 읽어낸다. 아름답고자 하지 않는 대상에서 아름다움을 찾아내, 미의 범주를 반문한다. 사진가 박찬욱에게 포토제닉한 아름다움이란, 지배적 가치체계나 관습적 미감의 그늘에 가려져 있으나 우리가 잠시 멈추고 현상 자체를 존중한다면 카메라의 위력을 빌어 발견할 수 있는, 여리지만 의연한 질서다."

Installation Views

Selected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