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1
/upload/exhibitions/6d7c9d3006fc38d727a06feb086785b8.jpg
Korakrit Arunanondchai - "Image, Symbol, Prayer"

Seoul   K3

Korakrit Arunanondchai "Image, Symbol, Prayer"

December 15, 2022 – January 29, 2023

Introduction

"Image, Symbol, Prayer"
– Korakrit Arunanondchai

The ashes are where we pray in the space of unreality. Fire burns everything into a ground of irreducible matter. Who will remember the time when the world was on fire?

Ashes embody the anarchy of unclassifiable society, where the flame is neither quenched nor ready to be reignited again. This residue is yet to be reborn into oppositions, groups and regimes.

There is a universal time at the true center of the universe. It can be accessed when we gather to tell stories about the time before and after everything. These stories kindle the cycles of creation and decreation. This is where God exists. This is the space we pray to. This is death. What exists beyond death is a promise, one that is never fulfilled nor broken. It always leaves us with a sense of longing. Bodies of people gather under this promise.

From the fire and ashes: does a political system only become fully aware of itself as it’s on the verge of disappearing? Is it only understood by the victims of history in a world ablaze? The ashes mark our defeat, scattered below monuments forged by the winners.

“The Phoenix’s privilege,” writes Bachelard, “is to be reborn of its own self, not of the ‘ashes’ of others.” The Phoenix is averse to a community of and in ashes; it carries the ridiculous principle of autonomy through to its logical conclusion in death, and even beyond death. But it is precisely this community devoid of hope for another life or another fire, one where my incinerated self is mixed with the ‘ashes’ of others.1

We formed our symbolic relationship to the world and to each other by making and looking into fire. As we gathered around it searching for images and symbols, the ground beneath and the sky above bore witness.

New meanings will be made along the way, in the form of a dream. Because dreams are more powerful than history. Because dreams escape death.



1 Michael Marder, Pyropolitics in the World Ablaze (Rowman & Littlefield, 2020)

Kukje Gallery is pleased to present “Image, Symbol, Prayer,” a solo exhibition of the Thai artist Korakrit Arunanondchai, on view at the gallery’s K3 space from December 15, 2022, through January 29, 2023. This will be the artist’s first exhibition at the gallery since the announcement of his representation in 2021. Working across a diverse range of mediums from video and performance to painting and installation, Arunanondchai interweaves an intricate codependency of forms to ask fundamental questions regarding existence and meaning, processed through the personal and the collective, life and death, and different belief systems. In this first exhibition with the gallery, Arunanondchai’s History Paintings surround the viewer on a floor made from compressed ash and clay. A prayer text is sculpted into the floor and reads:
 
In the beginning there was discovery / New nightmares, to challenge sleep / The need to impose order unto chaos / We create this world through unanswered prayers. / There’s a splendor beyond the upheaval / A nostalgia for unity / In the landscape of mourning / Give yourself to the air, to what you cannot hold / The ghost possesses Nothing



Above the prayer that runs along the edge of the room are History Paintings and Void (sky painting). Begun in 2012, Arunanondchai’s iconic series of History Paintings uses denim as its primary material, initially chosen because of its connection to a history of labor and Western forces of globalization. The artist bleaches and then builds upon layers of painting onto the denim, often using his body imprint and relief transfer technique that captures the texture of the earth. These surfaces become a stage for the fire to perform on and a material for it to consume. In these paintings, fire acts as both Arunanondchai’s process and subject; an entanglement between form and content. When the painting is set on fire, Arunanondchai photographs the painting as it burns away. Once the fire is extinguished, remaining fragments of the paintings and their resultant ashes are assembled back together with a photographic documentation of the painting on fire, into an object that carries the image of its own making.

Intrigued by the term “medium specificity” in art and its association with spirit-mediums, Arunanondchai has long been fascinated by non-human forces and how they impact our political systems and shared reality. Related to this, fire and ash have been important materials in Arunanondchai’s thinking and narrating of personal, social incidents. It is on this pyro-spiritual journey centered around ash—the remnant from the fire that burns everything into a ground of irreducible matter—that viewers are invited to survey the universal cycle of creation and de-creation.

About the Artist
Born in 1986 in Bangkok, Thailand, Korakrit Arunanondchai received his BFA from the Rhode Island School of Design in 2009 and his MFA from Columbia University in 2012. He now lives and works in Bangkok and New York. Arunanondchai has exhibited widely across the globe, including solo exhibitions at the Moderna Museet, Stockholm (ongoing), Art Sonje Center, Seoul (2022), Singapore Art Museum (2022), Kunsthall Trondheim (2021), Serralves Museum, Porto (2020), Spazio Maiocchi, Milan (2019), Museum of Contemporary Art Kiasma, Helsinki (2017), Museion, Bolzano (2016), Palais de Tokyo, Paris (2015), and the Museum of Modern Art PS1, New York (2014). He has also participated in various biennales including the Gwangju Biennale (2021), 16th Istanbul Biennale (2019), Whitney Biennial (2019), the 58th International Art Exhibition – La Biennale di Venezia (2019), and the 20th Biennale of Sydney (2016). His works are permanently collected by the Whitney Museum of American Art, New York; Centre Pompidou, Paris; Fondation Louis Vuitton, Paris; Tate Modern, London; Astrup Fearnley Museum, Oslo; Zabludowicz Collection, London; Sifang Art Museum, Nanjing.
Arunanondchai is also co-founder and organizer of Ghost, an ongoing series of art and performance festivals in Bangkok. The artist has recently joined this year’s ArtReview’s Power 100 roster for the first time, ranking 88 on the list of the most influential figures in the art world as announced by the British arts magazine.
「이미지, 상징, 기도」
ㅡ 코라크릿 아룬나논차이

재는 비현실의 공간에서 우리의 기도가 가 닿는 곳이다. 불은 모든 것을 더이상 환원 불가능한 상태로 태워버린다. 세상이 불에 타던 시절을 누가 기억할 것인가?

재는 불길을 끌 수도 없지만 다시 불타오를 준비도 되지 않은, 분류 불가능한 사회의 무정부 상태를 구현한다. 그 재라는 잔여물은 반대항으로, 단체로, 체제로 아직 재탄생하지 못했다.

우주의 진정한 중심에는 우주적 시간이 존재한다. 이는 우리가 둘러앉아 모든 것의 이전과 이후의 시간에 대한 이야기를 주고받을 때 접근할 수 있는 시간이다. 이 이야기들은 창조와 파멸의 순환에 불을 붙인다. 신이 존재하는 곳이 바로 여기다. 우리의 기도가 닿는 공간이 여기다. 이것이 죽음이다. 죽음 너머에 존재하는 것은 결코 지켜지지도, 깨지지도 못할 약속이다. 이는 언제나 우리에게 갈망의 감각을 남긴다. 이 약속 아래 사람들이 모인다.

불에서 재에 이르기까지, 정치 시스템이란 소멸 직전에 이르러서야 자신을 온전히 의식할 수 있게 되는 것인가? 불길에 휩싸인 세상의 역사 속 희생자들을 통해서만 이해할 수 있는 것인가? 승자에 의해 구축된 기념비 밑에 흩어진 재는 우리의 패배를 가리킨다.

바슐라르는 “불사조의 특권은 타인의 ‘재’로부터 탄생하는 것이 아니라 바로 자기 자신이 재탄생한다는 것에 있다” 했다. 불사조는 재로 이루어진, 재로 뒤덮인 공동체를 피한다. 죽음으로 귀결되는, 심지어 죽음 너머로 귀결되는 자신의 논리를 통해 터무니없는 자율성 원칙을 따르는 것이다. 하지만 새로운 생 내지는 새로운 불에 대한 희망이 전혀 없는 공동체, 소각된 내가 “타인의 재”와 뒤섞이는 공동체야 말로 중요한 것이다.1

우리는 불을 지피고 불을 들여다보면서 이 세상과의, 그리고 서로와의 상징적 관계를 형성해왔다. 우리가 이미지와 상징을 찾기 위해 불 주변으로 모여들 때 그 밑의 땅과 그 위의 하늘이 증인이 되어주었다.

그 과정에서 새로운 의미가 탄생할 것이다, 꿈의 형태로. 꿈이 역사보다 훨씬 강력하기 때문에. 꿈은 죽음을 피해 가기 때문에.

1 마이클 마더, 『불길에 휩싸인 세상의 불의 정치』 (로우맨&리틀필드, 2020)

국제갤러리는 2022년 12월 15일부터 2023년 1월 29일까지 K3 공간에서 태국 출신의 현대미술가 코라크릿 아룬나논차이(Korakrit Arunanondchai)의 개인전 《이미지, 상징, 기도》를 선보인다. 2021년 국제갤러리 전속 작가로 결정된 후 갤러리에서 선보이는 첫 전시다. 영상, 퍼포먼스에서 회화, 설치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매체를 넘나들며 작업하는 아룬나논차이는 다양한 형식을 정교하게 엮어내며 개인과 사회, 삶과 죽음, 다양한 신념 체계를 아우르는 존재와 의미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들을 제시해왔다. 본 개인전은 재와 흙으로 다져진 바닥의 전시장에서 작가의 대표 연작 〈역사 회화〉를 선보인다. 전시 공간을 뒤덮은 검은 흙바닥에는 작가의 기도문이 부조로 새겨져 있는데, 그 기도문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태초에 발견이 있었다 / 잠을 방해하는 새로운 악몽 / 혼란에 질서를 부여할 필요 / 우리는 외면당한 기도를 통해 이 세상을 만들어 나간다. / 격변 너머에 광휘 있고 / 통합에 대한 향수 / 애도의 땅에서 / 공기에, 잡을 수 없는 것에, 당신을 맡긴다 / 유령은 갖지 못한다, 아무것도

전시장 바닥의 가장자리를 따라 흐르는 기도문 위에는 작가의 〈역사 회화〉 및 〈빈 공간(하늘 회화)〉 작품들이 걸려있다. 2012년에 시작된 〈역사 회화〉 연작은 작가의 가장 널리 알려진 작품군으로, 청바지를 주요 재료로 삼는다. 서양 중심의 세계화와 노동의 역사에 대한 고찰의 일환으로 청바지를 사용하기 시작했는데, 작가는 재료를 표백한 후 그 위에 다층의 이미지를 쌓아 올린다. 자신의 신체를 각인하거나 땅의 텍스처를 고스란히 옮긴 이 이미지들은 이후 불이 활약할 수 있는 무대, 불이 연소할 수 있는 재료가 된다. 다시 말해 작가는 이 회화에 불을 붙이는데, 이때 불이란 작업의 과정이자 주제로 거듭난다. 형식과 내용이 뒤섞이는 것이다. 회화에 불을 붙인 후 작가는 문제의 타는 모습을 사진으로 남긴다. 불을 끈 후에는 불타고 남은 회화의 파편, 그 화재의 결과인 재, 그리고 불타는 과정을 기록한 사진이 한데 결합한다. 결국 최종 결과인 작품은 스스로의 생성 과정을 생생하게 품은 양상을 띠게 된다.

‘매체(medium)’라는 미술 용어와 ‘영매’라는 초자연적 대상의 관계성에 관심을 갖던 아룬나논차이는 영혼의 존재와 그들이 우리의 정치 시스템 및 현실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해 오래 탐구해왔다. 이 맥락에서 불과 재라는 요소는 작가가 자신의 사적 경험, 주변의 사회적 사건들을 고찰하고 서술하는 방식에 주요한 재료가 되어왔다. 모든 것을 더 이상 환원 불가능한 상태로 태워버리는 불과 그 결과물인 재를 둘러싼 이 여정을 통해 작가는 보는 이로 하여금 창조와 파멸의 우주적 순환구조에 대해 조망할 기회를 제공하고자 한다.

작가 소개
1986년 태국 방콕에서 태어난 작가 코라크릿 아룬나논차이는 2009년 로드아일랜드 디자인 스쿨에서 미술학사를 취득하고 2012년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미술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는 방콕과 뉴욕을 기반으로 활동하며 전 세계 곳곳에서 전시 및 작품을 선보이고 있다.
주요 개인전으로는 스톡홀름 현대 미술관(2022), 서울 아트선재센터(2022), 싱가포르 아트 뮤지엄(2022), 쿤스트할 트론헤임(2021), 포르토 세랄베스 현대 미술관(2020), 밀라노 스파치오 마이오키(2019), 헬싱키 키아스마 현대 미술관(2017), 볼차노 무세이온 미술관(2016), 파리 팔레 드 도쿄(2015), 뉴욕 모마 PS1(2014) 등이 있다. 이외에도 광주 비엔날레(2021), 이스탄불 비엔날레(2019), 휘트니 비엔날레(2019), 베니스 비엔날레(2019), 시드니 비엔날레(2016) 등 여러 비엔날레에 참여했다. 현재 그의 작품은 뉴욕 휘트니 미술관, 파리 퐁피두 센터, 파리 루이비통 재단 미술관, 런던 테이트 모던, 오슬로 아스트루프 펀리 현대 미술관, 런던 자블루도비치 컬렉션, 난징 스팡 현대미술관 등 세계 주요 기관에 소장되어 있다.
또한 작가는 ‘고스트(Ghost)’라는 이름의 방콕 기반 예술 및 퍼포먼스 축제의 공동 설립자로도 활동 중이다. 최근에는 영국 미술 전문지 〈아트 리뷰〉가 매년 미술계에서 영향력 있는 인물 100인을 선정하는 〈파워 100〉 중 88위에 이름을 올렸다.

Installation Vi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