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1
/upload/exhibitions/736524e30ac26b686e2d11540d9f3823.jpg
Lee Ufan - Lee Ufan

Seoul   K1   K2

Lee Ufan Lee Ufan

April 4 – May 28, 2023

Introduction

In the modern era we cannot function, as the world is haunted by the specters of 'God,’ 'Man,’ and now ‘Information.’ These ghosts shroud the whole world; the entire universe. Virtual reality cannot be made physical. It is unreachable and looks to be seen but is actually a closed world without substance or exterior. Humanity must be regenerated as one entity interacting with the external, moving beyond the ghost of the self-centered 'human,’ so that to encounter that which is beyond us becomes most important. My work is extremely simple but has a unique physicality. It is neither object nor information. Rather it acts as an intermediary, an open gate, through which to see both sides. In short, my work is a place to encounter oneself and others, both the internal and the external; suggesting a new reality.
– Lee Ufan


Kukje Gallery is pleased to present a solo exhibition of Lee Ufan on view from April 4 to May 28, 2023. This is his second solo show at Kukje Gallery, following his first exhibition in 2009, and the first time in 12 years that he is showing his work in Korea, outside of Space Lee Ufan at Busan Museum of Art founded in 2015. Across the gallery’s K1 space, the second floor of K2 space, and the garden, this exhibition includes six sculptures and four drawings that range from the 1980s to new works. This body of sculptures displayed in each exhibition space is an extension of Lee’s Relatum series that began in 1968, when he also began to take a leading role in the avant-garde movement of Mono-ha.

Rather than starting from a blank slate and creating expressions of self-representation in an objective form, Lee Ufan's works represent fragments of phenomena that interlock with reality and expressions that are open to exchange with others or the world. Although various aesthetic elements or intentions are inevitably added to the work by the artist throughout his practice, Lee endeavors to distill his ideas into the most concise and restrained forms and present them in neutral places, such as the white cube, to engage with everyday life.

Lee titles all his sculptures Relatum and often provides subtitles to hint at possible associations without giving a firm interpretation. Relatum signifies a relation that is different from the readily definable "relationship," but one that explores the artist’s interest in how individual elements of a work are in a fluid relationship and where their context is constantly changing. In this way, the viewer, who directly intervenes in the space of the work as a relatum—along with factors such as the stone representing nature and the steel plate representing industrial society—feels a part of the conversation between the two objects or is led to reflect on the idea of co-presence by silently observing their conversation. Regarding this symbiosis, Lee has said, “A stone is a lump of time. It is older than Earth. Steel plates are extracted from stones. In other words, the stone and the steel plate are siblings to each other. The idea of my work is to hint at the future through the encounter of a stone and a steel plate, the dialogue between nature and civilization.” It is in light of this focus on time that Lee's work speaks to the void—defined by resonance and energy born out of collisions that manifest variability and where the inner and the outer aspects communicate.
Lee employs an anthropomorphic metaphor in Relatum – The Kiss (2023), installed in the rear gallery of the K1 space, capturing a moment of encounter. As can be inferred by its subtitle, two stones are making a point of encounter as if they are kissing, while two individual chains surrounding them overlap and cross each other, thereby creating a point of intersection. The center of the circular chains leaning towards the position of each stone seems to emerge from the force of this encounter. As a result, the work evokes a strong sense of motion familiar from Lee’s painting series From Line and From Point. Similar to this work is Relatum – Lover (1986), in which two stones seem to attempt to overcome the division in between the two disjointed steel plates and come into contact, with the aspiration to be as close to each other as possible. The gesture Lee employs in these Relatum series is not only an aesthetic gesture but a factor of amplification wherein the sculpture functions as a device to awaken our sense of everyday experience by capturing a phenomenon of reality, imbued with the uncanny balance between the lifeless objects and the real-life event of the living.
Installed in the corner of the rear gallery of K1 is a series of four drawings on paper titled Dialogue. Drawn using acrylic and charcoal, these works relate to Lee's iconic painting series Dialogue. Each drawing appears as a sort of map depicting elements of different works; for example, the familiar stroke of paint in Dialogue is here done with acrylic and charcoal and is accompanied by some stark lines. In another, Lee has drawn some stones that sit placidly on the ground surrounded by white space. Standing in front of these simple spellbinding works, the viewer feels a palpable tension, encountering deep introspection and meditation as in front of Relatum. While different and more restrained in media than the Dialogue paintings, the drawing media still communicates that regardless of its form—whether it be a sculpture, drawing, steel, or a line—Lee is able to coax his viewers into a dialogue with the subject of infinity.

On the second floor of the gallery’s K2 space is Relatum – The Sound Cylinder (1996/2023), consisting of a stone leaning on a hollow steel cylinder. From the five holes on the surface of the cylinder emerges the sound of the Emile Bell, also known as the Sacred Bell of Great King Seongdeok, the largest extant bronze bell in Korea, as well as nature sounds, such as birds in the woods, rain and thunder, and a mountain brook. Here, the artist once again invites the viewer to meditate on the effects aroused by the encounter of two individual objects by simply exposing the materiality of the juxtaposed natural stone and steel. Rather than making a direct interference, the “resonance” as an effect generated by such an encounter, corresponds to the nature of sound in that both forms of resonance are invisible. Playing on the medium of air, this work evokes how two distinct forms of resonance can form a relatum.
Installed on the same floor of the K2 space is Relatum – Seem (2009), which is composed of a stone facing an empty canvas. The empty canvas evokes minimalist predecessors such as White Painting (1951) by Robert Rauschenberg or the work 4’33” (1952) by John Cage. However, Lee’s empty canvas deliberately vacates any remark of statements that challenges the binary distinctions between music and non-music, or painting and non-painting, as explored in those works previously mentioned. Instead, the white canvas and the dimly lit stone standing in front simply remain silent and open, reminiscent of deep meditation that invites the viewer to join the foreign yet productive dialogue. In so doing, the work becomes a condensed version of a space where complex layers of interactions unfold symbiotically within the presence of the viewer.
With a profound reflection on infinity embodied in every work, this exhibition invites the viewer to experience the grand narrative and theory that underlie the lifelong practice of Lee Ufan.


About the Artist
Lee Ufan (b. 1936) was born in Haman, South Korea and spent his childhood in Busan. He attended Seoul National University’s College of Fine Arts during the Korean War but dropped out and moved to Japan, graduating from Nihon University in 1961 with a bachelor’s in philosophy. Having been interested in French phenomenology, which was popular at the time, he has since pursued the connection between East Asian and European ideologies and has continued to consciously and structurally cross-reference Eastern and Western cultures.
Lee Ufan is one of the founding members of Mono-ha, a movement largely defined by the artist’s seminal text from the late 1960s. The art movement revolving around materials and their properties soon entered the mainstream art movement in Japan by the 1970s and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establishing a theoretical ground for modern art in Korea. Instead of representing a particular art movement or artistic language, he created a language of universality by continuously questioning and examining the binary distinctions between the East and the West; nature and artificiality; spirituality and materiality; intuitiveness and logicality. It is through this way that he was able to work across the fields of painting and sculpture to art theory and criticism.
Selected awards include the UNESCO Prize in 2000 and the Praemium Imperiale for painting in 2001, as well as the National Order of Cultural Merit in 2013 for his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Korea’s art and culture. His works have been exhibited in many solo and group exhibitions in major institutions around the world, including Berlin National Galerie, Berlin, Germany (1982); the Royal Museum of Fine Arts of Belgium, Brussels, Belgium (2008); Guggenheim Museum, New York, USA (2011); Château de Versailles, Versailles, France (2014); Centre Pompidou-Metz, Metz, France (2019); and Dia: Beacon, New York, USA (2019). Lee also respectively participated in the collateral exhibitions of the 52nd Venice Biennale (2007) and 14th Biennale de Lyon (2017), and held major retrospective exhibitions in Japan in 2022, at the Hyogo Prefectural Museum of Art, Kobe, and the National Art Center, Tokyo. He currently lives and works globally, across Korea, Japan, and France.
“현시대가 신이나 ‘인간’이라는 망령 그리고 정보라는 망령한테 홀려서 맥을 쓸 수 없습니다. 이 망령이 전세계, 어쩌면 우주론까지 뒤덮으려고 하고 있어요. 가상현실(virtual reality)은 신체일 수도 없고, 손에 닿지도 않고, 보이는 것 같지만 실상 실체나 외부가 없는 닫혀진 세계입니다. 이제 우리는 망령된 ‘인간’을 넘어서 ‘개체로서의 나’와 외부와의 관계적인 존재로 재생되어야 합니다. 그래서 만남(Encounter)이 중요한 것이지요. 나의 작품은 지극히 단순하지만 독특한 신체성을 띠고 있으며, 대상 그 자체도 아니고 정보 그 자체도 아닌, 이쪽과 저쪽이 보이게끔 열린 문, 즉 매개항입니다. 다시 말하면 나와 타자가, 내부와 외부가 만나는 장소가 작품이고 이것은 새로운 리얼리티의 제시입니다.” – 이우환


국제갤러리는 2023년 4월 4일부터 5월 28일까지 이우환의 개인전을 개최한다. 2009년 이후 국제갤러리에서 열리는 두 번째 전시이자, 부산시립미술관의 ‘이우환 공간’ 설립(2015)을 제외하면 국내 관람객들이 12년 만에 맞는 작가의 개인전이다. 1관의 2개 공간과 2관 2층, 그리고 정원에 걸쳐 전개되는 이번 전시는 이우환의 1980년대 작품부터 근작까지 아우르는 조각 6점과 드로잉 4점을 선보인다. 전시장의 메인 무대를 장악하는 그의 조각들은, 그가 1956년에 일본으로 이주해 전위적인 미술운동인 모노하를 주도하기 시작했던 1968년과 동일한 연도에 처음 제작한 이래 오늘날까지 꾸준히 작업을 이어 온 〈관계항(Relatum)〉 연작의 연장선에 있다.

이우환은 무(無)에서 시작하여 자기 자신의 표상으로서의 표현을 만들고 그것을 대상화하는 대신, 현실과 맞물리는 현상의 파편으로서의 작업을 보여주고, 타자 또는 세계와의 교류에 열려 있는 표현으로서의 작업을 만들어낸다. 물론 여기에도 작가가 가미한 미적 요소나 의도가 다분히 포함되어 있지만, 그는 작품이 끊임없이 현실 또는 일상과 관계 맺도록 하기 위해 갤러리의 화이트 큐브 공간과 같은 익명의 뉴트럴한 장소에 간결하고 절제된 미니멀한 형태의 메타포를 만든다.

이우환은 자신의 모든 조각들을 ‘관계항(relatum)’이라 제목 짓고 여기에 종종 부제를 붙이는데, 이때 부제는 가능한 연상을 도울 뿐 확고한 해석을 허락하지는 않는다. 규정지을 수 있는 ‘관계’ 대신 관계를 맺고 있는 주체를 의미하는 ‘관계항’을 제목으로 선택한 데에는, 작품의 개별 요소들이 끊임없이 맥락이 변화하는 유동적인 관계에 놓이도록 하려는 작가의 의도가 깔려 있다. 자연을 상징하는 돌, 그리고 산업 사회를 대표하는 강철판 등 작업의 요소들과 함께 하나의 ‘관계항’으로서 작품 공간에 직접 개입하게 되는 관람객은 두 사물의 대화에 참여하고 있다고 느끼거나 침묵 중에 진행되는 대화를 명상하듯 관찰하며 자아와 타자의 공생(co-presence)을 생각하게 된다. “돌은 시간의 덩어리다. 지구보다 오래된 것이다. 돌에서 추출된 것이 철판이다. 그러니까 돌과 철판은 서로 형제 관계인 것이다. 돌과 철판의 만남, 문명과 자연의 대화를 통해 미래를 암시하는 것이 내 작품의 발상이다.” 이우환이 두 요소의 공생에 대해 위와 같이 소회한 바, 그의 작품에는 공백이 있고, 공명이 있고, 상호 충돌하여 발생하는 에너지가 있다. 그리하여 내부와 외부가 교통하는 가변성의 세계, 즉 ‘무한’을 작품 속으로 끌어들인다.

1관에 설치된 신작 〈Relatum – The Kiss〉(2023)를 통해 작가는 의인화된 은유(anthropomorphic metaphor)의 예시를 보여준다. 작품의 부제인 ‘키스’로 각각이 사람임을 암시하고 있는 두 개의 돌이 조우하며 접점을 만들고, 각각의 돌을 둘러싼 두 개의 쇠사슬 또한 포개어지고 교차하면서 교집합의 양상을 만들어낸다. 두 돌이 접촉하는 사건을 중심으로 발생하는 쇠사슬의 방향성은 그를 대표하는 회화 연작 〈선으로부터〉, 〈점으로부터〉에서도 확인할 수 있는 강한 역동성을 불러온다. 그는 과거에도 의인화된 은유를 적극 도입한 바 있는데, 1986년에 제작한 〈Relatum – Lover〉는 두 개의 돌이 그들을 받치고 있는 철판에 의한 경계를 극복하려는 듯이 서로를 향하고 염원하는 형국을 표현하였다. 작가에게 이 같은 일종의 트릭은 작품에 미적 요소를 더하는 장치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그 표현 자체가 현실을 반영하는 하나의 현상이기에 현실이나 일상을 일깨우는 기폭장치의 역할을 수행한다.
1관의 안쪽 전시장 한 켠에 자리하고 있는 〈Dialogue〉라는 제목의 드로잉 4점은 그의 유명한 회화 연작 〈Dialogue〉를 연상시키는, 정신과 호흡을 극도로 통제하고 가다듬어야만 찍어 내릴 수 있는 커다란 ‘점’과 자연물을 묘사하는 듯한 제한된 수의 ‘선’으로 구성되어 있다. 〈관계항〉 조각 앞에 섰을 때와 마찬가지로 의도적인 여백과 긴장감 있는 구성 앞에서 우리는 사색과 명상에 잠기게 된다. 이들 작품에서 이우환은 드로잉이라는 매체의 특성을 이용해 극도로 제한된 표현을 만들어내고 있지만, 마치 조각이든 드로잉이든, 철판이든 하나의 선이든, 모두 세계와의 열린 대화로 초청하는 현상들의 파편일 뿐임을 역설하는 듯하다.

2관 2층에 전시되는 〈Relatum – The Sound Cylinder〉(1996/2023)는 강철로 만든 속이 텅 빈 묵직한 원통과 그에 기대어 놓인 돌로 구성되어 있다. 원통에는 5개의 구멍이 뚫려 있는데, 밖으로 숲 속의 새들, 비와 천둥, 산 속의 개울이 만드는 자연의 소리와 에밀레종의 종소리가 공명하듯 흘러나온다. 작가는 물질에 직접적으로 개입하기 보다는 인공물과 자연석의 개별적인 물성 그대로를 공간에 병치함으로써 그들 간의 관계가 발생시키는 파장을 관조하게끔 한다. 관계에서 발생하는 파장으로서 ‘울림’은 우리의 눈에 보이지 않지만 분명히 존재하며, 공기와 같은 매질의 진동을 통해 전파되는 소리, 즉 음파의 성질과 일맥상통한다. 이렇듯 이 작품에는 실재하는 효과로서 두 가지의 다른 ‘울림’이 공존한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이 밖에도 2관 같은 공간에는 빈 캔버스와 돌이 마주보고 있는 〈Relatum – Seem〉(2009)이 설치돼 있다. 전시장의 흰 벽면에 걸린 흰 캔버스는 언뜻 존 케이지의 〈4분 33초〉(1952년 초연)나 로버트 라우센버그의 〈White Painting〉(1951) 등의 작품을 연상시킨다. 하지만 서구의 문제적 작품들이 각각 비(比)음악(non-music), 비(比)회화(non-painting)를 상징하며 전복 내지는 도발의 의미를 지니는 반면, 이우환이 보여주는 흰 캔버스와 그 앞에 놓인 돌에 깃든 침묵이나 물질적 현존에는 이 같은 완전하고 결연한 발언이 자리하지 않는다. 대신 작품은 조명이 어두운 환경 한 가운데에서 다소 이질적이지만 생산적인 대화로 초대하는 ‘매개’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관람객으로 하여금 실재를 초월하는 대상과의 직접적이고 열린 대화를 통해 묵상하도록 유인한다. 따라서 그에게 작품은 복잡한 상호 관계가 벌어지고 신체가 그것을 지각하는 영역이자 장(場)으로 압축된다.
작품 하나하나가 ‘무한’을 표현하고 있는 메타포인 만큼, 전시장을 찾는 관람객들이 하나의 거대 서사이자 이론 그 자체인 이우환의 작품세계를 경험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작가 소개
이우환은 1936년 대한민국 경남 함안에서 태어나 부산에서 유년시절을 보냈다. 한국전쟁기에 서울대학교 미술학부에 진학하였으나 학업을 마치지 않고 일본으로 건너가 1961년 니혼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했다. 당시를 풍미한 프랑스 현상학에 관심을 가졌던 그는 이후 줄곧 동아시아와 유럽 사상의 연결을 추구하였고, 실제 동서 문화를 오가며 의식적으로, 구조적으로 상호 참조하는 활동들을 이어왔다.
1960년대 후반의 전위적 미술운동인 모노하를 주도한 이우환은 이 운동의 이론적 토대를 제공하였다. 가공되지 않은 자연물, 물질 그 자체를 예술 언어로 활용하고자 한 모노하 운동은 1970년대까지 일본 미술의 큰 흐름으로 자리잡았으며, 이는 한국 모더니즘 미술의 이론적 교두보를 마련하는 데에도 지대한 영향을 주었다. 이우환이 화가이자 조각가, 미술이론가이자 비평가로 활동할 수 있었던 것은, 특정 미술 흐름이나 언어를 지지하는 대신 동양과 서양, 자연과 인위, 정신과 물질, 직관과 논리 등의 이항대립의 경계와 틈새를 끊임없이 파고들어 종국에는 보편성이라는 하나의 언어를 제공해주기에 가능하였다.
이우환은 프랑스 파리 유네스코미술상(2000), 일본세계문화상(2001) 등 국내외의 여러 미술상을 수상하였으며, 대한민국의 문화, 예술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2013년 대한민국 금관문화훈장을 받았다. 베를린 국립미술관(1982), 벨기에 왕립미술관(2008), 뉴욕 구겐하임 미술관(2011), 파리 베르사유 궁전(2014), 파리 퐁피두 메츠 센터(2019), 뉴욕 미술관 디아 비컨(2019) 등 세계 주요 미술관에서 다수의 개인전과 그룹전을 가진 바 있으며, 그 밖에 제52회 베니스비엔날레(2007)와 제14회 리옹비엔날레 특별전(2017)에 초대되었다. 한편 2022년에는 고베의 효고현립미술관과 도쿄 국립신미술관에서 대규모 회고전을 개최하였다. 현재 이우환은 한국과 일본, 그리고 프랑스에서 거주하며 전 세계를 무대로 활동하고 있다.

Installation Vi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