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1
/upload/exhibitions/c0aac2327bb9d8d60e8b273964f619c0.jpg
Gimhongsok - Normal order aimed at failure
실패를 목적으로 한 정상적 질서

Seoul   K2   K3

Gimhongsok Normal order aimed at failure
실패를 목적으로 한 정상적 질서

February 1 – March 3, 2024

Introduction

The entangled world is a pivotal point for the crucial action of escaping binary thinking. Perhaps the current modernity is an entanglement of everything.
– Gimhongsok


Kukje Gallery is pleased to present Normal order aimed at failure, the gallery’s first program of the year, dedicated to the Korean contemporary artist Gimhongsok across its K2 and K3 spaces. Gim, who has worked across a wide variety of forms and mediums for the past two decades, explores the gray area of perceived social order, probing the tension between Western modernity observed in social, cultural, political, and artistic practices, and the independent resistance of the non-West. This exhibition allows the artist to expand upon this ongoing critique using a conceptual framework he refers to as “entanglement.”

While the political, economic, and philosophical systems of the non-West, under the pressure to learn and imitate Western modernity, sought to proclaim their own subjectivity through concepts of hybridity and chaos, they would often get lost in the border space. Falling short of a practical alternative, the concept of the border once again became trapped in a modernist mindset. The direction of art found in our contemporary society points toward a clash between immensity and triviality. While capital may seem triumphant in this structure of binary opposition, we already know that it’s not the source of a true resolution. We can’t declare capital and finance as the victors of Western modernity, but neither can we deny the fact that art remains under the powerful influence of these forces. The failure of post-structuralist theories of “deconstruction” in real life affirms this observation. Still, the sensibility of entanglement, found not in binary opposition, but in contemporaneity, may offer a new alternative to this problem. Perhaps the notion of entanglement holds the potential to transform existing perceptions—namely, those of beauty, completeness, propriety, and the definition of human. Might we envision, through the conceptual aid of entanglement, a different world with new possibilities?

Installed on the first floor of K2 are a selection of works that challenge existing norms and expectations—qualities, as perceived by the artist, that are internalized by the public through education. Sculptures that are assembled in this space challenge the viewer to confront pre-existing biases, suggesting that even autonomous, aestheticized objects may exist in a deeper entangled framework of meaning. Upon encountering the exhibition space, the viewer is greeted by a sculpture donning the face of a joker and the body of a cat; instantly confused, one is unable to determine whether the joker is wearing the fur of a cat or if the cat is wearing the head-mask of the joker. Likewise, a pair of high heel-like slippers remain exposed on the floor, refusing to provide definitive answers regarding the value and purpose of their existence. Alongside these structures lie a series of flame sculptures that have been distilled into simplified forms and palettes reminiscent of pictograms, blurring the boundaries between two- and three-dimensional realities. The hands that lift up the stone and the carpet laid across the floor demonstrate a physical conundrum that further destabilizes the concept of materiality in sculpture. What belies the hyper-realistic stone, hands, and carpet, are the materials that contradict the visual appearance of each work. The stone, often perceived as a heavy substance, is realized in lightweight resin; conversely, the expectation of relative lightness associated with the carpet is once again overturned when one discerns that it has been cast in bronze. The contradicting pairs of the real and the unreal, the normal and the abnormal, and the right and the wrong ultimately represent what Gim sees as “true contemporaneity.” Amidst the entanglement and confusion exists a complete sense of freedom, unshackled by any preexisting laws or universalized concepts.  

The second floor of K2 reveals a group of paintings titled Four Gracious Plants, followed by other works founded on natural motifs such as lotus flowers, bamboo, and miscellaneous trees. While the artist initially hints at cultural continuity by depicting the four iconic plants that construct Gunja (a symbol for a noble man in Confucianism), he renders the images in thick modeling paste instead of ink, replacing the Gunja philosophy with ideas of Western modernism and demonstrating the schizophrenic materiality of modern Asian culture. Attempting to escape the cliché paradigms of Oriental painting, Gim deliberately chooses to use acrylic paint and canvas, two of the most commonly used materials in Western painting, to underline the overall theme of the exhibition, the “liberation from fixed concepts.” Stereotypical symbols of Asian culture exposed in Gim’s other paintings featuring natural motifs were also chosen less for their inherent meanings than for the compositional arrangement of the canvas. Emptied of immanence and implied meanings, only the essence remains; Gim liberates the subject while the distilled objects, depicted without any inference, are freely suspended on the canvas in service of their formal composition (proportion, balance, rhythm, unity, and visual harmony).

As if to accentuate this tension between pure aesthetics and neo-liberal banality inside the gallery, a mix of generic background music commonly played in public spaces accompanies the exhibition. Since acknowledging the presence of quiet yet refined "background music" in places such as the department store during his childhood, Gim has been fascinated by how ambient music defines public spaces such as train stations, airports, and shopping malls. Such "background music" engulfs the exhibition, reaching the viewers' unconscious and ultimately leading them to perceive and experience the gallery as another public venue, rather than an exclusive gallery space.

The work entitled Four Gracious Plants is my very first painting drawn from the theme of Sagunja (four gracious plants) in traditional Korean painting. While it comprises four canvases, the display in the exhibition doesn’t follow the traditional arrangement of Sagunja. Further, as mentioned earlier, I painted on canvas, not on hanji (Korean paper made from the mulberry tree). Although I will reach the age of 60 soon, I never had a chance to practice Eastern art during my early education as it was not included in the art curriculum. The West established all types of industrial and conceptual systems after the revolutions. Had it not been for a professor who posed a question that awakened my mind, I would still have been immersed in Western art. He advised me, “You need to present contemporary art with a Korean sensibility.” Yet, I wanted to focus less on the problem of Korean identity than on the role and utility of art in the face of social issues. […] In this exhibition, I hope that the space in which my work resides is no different from an underground shopping mall or an unoccupied subway station. In other words, I hope this exhibition will provide an experience that creates a fissure in the preconception of art as singular or special that might exist in the viewer’s mind.

Meanwhile, K3 presents a rather amusing setting. Laying on the ground in the center—as if having fallen from the sky through the ceiling—is what appears to be a fragment of meteorite partly damaged by the forces of gravitational acceleration. Embedded within the cracks and recessions of this anonymous mass are two objects that can be identified and agreed upon under the universal sign of a “star” on Earth. Regarding this exhibition, Gim commented: “It is an artist’s responsibility to transform existing perceptions by exploring and challenging widely accepted definitions through unlimited means. This is also the answer to the question, ‘What is the role of art?’.” Like the massive object and the two signified “stars” embedded in its interior, the real and its interpretation become inextricably entangled in Gim’s oeuvre.


About the Artist
Born in Seoul, Korea, Gimhongsok (b. 1964) graduated from the Department of Sculpture,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studied at the Kunstakademie Düsseldorf, Germany, in the 1990s. Currently a professor of Stage Art at Sangmyung University, Gim has held solo and group exhibitions at major institutions across the globe. Selected recent exhibitions include The Part In The Story Where Our Accumulating Dust Becomes A Mountain, Seoul Museum of Art, Seoul, Korea (2023); A Suit with Underwear on the Outside and a Dress with the Skirt Worn as a Hat, Space ISU, Seoul, Korea (2023); Lots of People, Children’s Gallery, Busan Museum of Art, Busan, Korea (2023); My Sleep, Culture Station Seoul 284, Seoul, Korea (2022); 2019 Title Match: Gimhongsok vs. SEO Hyun-Suk—Incomplete Ruins, Buk-Seoul Museum of Art, Seoul, Korea (2019); Culture City of East Asia 2018 Kanazawa: Altering Home, 21st Century Museum of Contemporary Art, Kanazawa, Japan (2018); The Other Face of the Moon, Asia Culture Center, Gwangju, Korea (2017); Good Labor Bad Art, PLATEAU, Samsung Museum of Art, Seoul, Korea (2013); All You Need is LOVE, Mori Art Museum, Tokyo, Japan (2013); 2012 Korea Artist Priz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Gwacheon, Korea (2012); and Ordinary Strangers, Art Sonje Center, Seoul, Korea (2011). He has also participated in a wide range of major international exhibitions, including the Oku-Noto Triennale (2017), Nanjing International Art Festival (2016), Yokohama Triennale (2014), Gwangju Biennale (2012), Biennale de Lyon (2009), and La Biennale di Venezia (2005, 2003). Gim’s works are housed in the Museum of Fine Arts, Houston, USA; National Gallery of Canada, Ottawa, Canada; The Queensland Art Gallery (QAGOMA), Brisbane, Australia; Le Consortium, Dijon, France; Contemporary Art Museum, Kumamoto, Japan; 21st Century Museum of Contemporary Art, Kanazawa, Japan;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Korea; Seoul Museum of Art, Seoul, Korea; Gyeonggi Museum of Modern Art, Ansan, Korea; Museum of Contemporary Art Busan, Busan, Korea; and Posco Museum, Pohang, Korea.
“뒤엉킨 세계는 이원론적 사유에서 벗어나는 중요한 실천의 시작이다.
아마도 현대성은 곧 모든 것의 ‘뒤엉킴’일 것이다.” – 김홍석


국제갤러리는 2024년 갑진년의 첫 전시로 오는 2월 1일부터 3월 3일까지 김홍석 작가의 개인전 《실패를 목적으로 한 정상적 질서》를 서울점(K2, K3)에서 개최한다. 지난 20여 년간 다양한 형식과 매체의 범주를 넘나들며 사회, 문화, 정치, 예술에서 나타나는 서구의 근대성, 그리고 이에 대항하는 비서구권의 독립적 저항 간에 발생하는 애매모호한 인식의 질서를 비판해온 김홍석은 이번 전시를 통해 ‘뒤엉킴(entanglement)’에 대해 이야기한다.

서구 모더니즘을 학습하고 모방할 수밖에 없던 비서구권의 정치, 경제, 그리고 사유체계는 혼돈과 잡종성의 개념을 통해 스스로 주체화 되었다고 선언하는 듯했으나, 결국 경계의 공간에서 다시 길을 잃곤 하였다. 경계의 개념이 현실적 대안이 되지 못했고, 또 다시 모더니즘적 사고에 갇히고 만 것이다. 현대사회에서 발견되는 미술의 방향은 거대함과 사소함, 자본과 아방가르드의 충돌을 향해 있으며, 이러한 대립구조에서 자본이 승리하는 듯하지만 결국 우리는 그것이 해결의 실마리가 아님을 이미 알고 있다. 서구 모더니즘의 승자가 자본과 금융이라고 단언할 수는 없지만, 미술도 이것의 지대한 영향 아래 있다는 사실을 부인하긴 힘들다. 탈구조주의의 '해체이론'이 결국 현실에 실현되지 못한 것이 그 증거이다. 그러나 이원적 대립이 아닌 현대에서 발견되는 뒤엉킨 감각은 어쩌면 새로운 대안이 될지도 모른다. 기존의 인식, 즉 아름다움, 완전함, 옳음 그리고 인간에 대한 정의가 이런 뒤엉킴을 통해 우리의 인식체계를 바꾸어 다른 세상으로 인도할 수 있다는 가능성에 기대를 거는 것은 어떨까?

K2 1층 공간의 작품들은 대중이 흔히 학습해 온 당연한 정보들이 통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모습을 보여주는데, 이와 같이 익숙한 개념들이 해체되어 엉켜 있는 상태는 관람객에게 친숙하면서도 낯선 광경을 선사한다. 전시장에는 맞는가 싶어 고개를 돌리는 순간 의구심이 싹트고, 이내 찬찬히 들여다보면 어딘가 생소한 형태의 조각들이 자리한다. 조커의 얼굴에 고양이 몸을 한 조각은 조커가 고양이 털옷을 입은 것인지, 고양이가 조커의 탈을 쓴 것인지 분간할 수 없으며, 하이힐 높이로 제작된 슬리퍼는 그 존재의 가치와 목적성에 대한 명쾌한 답을 내놓지 않는다. 한편 픽토그램처럼 단순화된 형태와 색감으로 표현된 불꽃 조각 연작이 2차원과 3차원의 경계를 허물고 있다. 돌멩이를 든 손과 바닥에 놓인 카펫 조각은 조각의 물질성을 해체하는 양상을 보여주는데, 이는 돌, 손, 카펫 등이 극사실적으로 묘사되었음에도 불구, 그 모습과는 모순되는 성질의 재료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실제 무거워야 하는 돌멩이는 레진을 사용해 매우 가볍게, 가벼워야 하는 카펫은 브론즈를 활용해 아주 무겁게 제작되었다. 실재-허구, 정상-비정상, 옳고-그름의 대립항들이 뒤엉킨 상태가 궁극적으로 도달하고자 하는 바는 어디에도 속하지 않는 진정한 현대성, 즉 보편적 개념에 얽매이지 않은 완전한 자유로움이다.

K2 2층에는 사군자 페인팅을 필두로 연꽃, 대나무, 잡목 등을 그린 회화 작품들이 자리한다. 사군자의 묵향 대신 돋보이는 두터운 마티에르(matière)는 동양의 군자(君子) 정신과 태도를 서구 모더니즘의 개념으로 지워버리고, 현대 동양인의 정신분열적 물질성을 보여준다. 동양화에 대한 보편적 인식을 탈피하기 위해 그에 대항하는 개념인 서양화에서 흔히 사용되는 아크릴과 캔버스를 재료로 삼아, 작가는 다시 한번 '고착화된 개념으로부터의 자유'라는 전시 주제를 강조한다. 또한 연꽃, 대나무, 잡목 등을 표현한 회화에서도 각 식물들에 내재된 의미는 없으며, 이는 회화의 화면구성을 위해 채택된 주제들이다. 이렇게 내재성과 함축적 의미를 모두 제거한 작품에는 순수형태 그대로의 본질만이 오롯이 남게 되고, 구체적인 목적 없이 그려진 대상들은 오로지 화면의 구성(비례, 균형, 리듬, 통일, 조화)을 위해 캔버스 위를 자유롭게 유영한다.
전시장 내부에는 공공장소에서 흔히 들리는 음악에서 착안한 배경음악이 흘러나온다. 작가는 어릴 적 백화점에서 들었던 조용하면서도 세련된 음악의 존재를 인식한 후로 줄곧 기차역, 공항, 쇼핑몰과 같은 공적 공간의 음악에 관심을 가졌다고 한다. 대중적인 배경음악은 관람객의 무의식에 도달해 갤러리가 고급스럽고 특수한 곳이 아닌 공공적 공간임을 간접적으로 느낄 수 있도록 유도한다.

‘사군자’라 명명한 작품은 내 인생의 첫 번째 사군자 회화이다. 총 4개의 캔버스로 이루어져 있지만 전시 배열을 동양적으로 하지 않았다. 더구나 앞서 언급한대로 한지가 아닌 캔버스에 사군자를 그렸다. 나는 곧 60세가 되지만, 유치원부터 대학까지 동양 미술을 실습할 기회가 없었다. 미술 커리큘럼에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서구의 산업, 사유의 혁명이 일어난 후 서구는 모든 종류의 산업과 사유체계를 정립했다. 독일 유학 시절, 내 눈을 뜨게 한 교수의 질문이 없었다면 나는 아직도 서구 미술에 더 깊숙이 빠져 있었을 것이다. 그가 내게 한 조언은 “너는 한국적 현대미술을 보여주어야 한다.”였다. […] 그러나 나는 한국적 정체성보다는 사회적 문제와 미술의 효용과 역할에 관심을 쏟고 싶었다.
[…] 이번 전시에서는 내 작품이 존재하는 공간이 지하 쇼핑몰 또는 한적한 지하철 역과 별다를 바 없기를 바란다. 즉 미술이 특수하거나 특별하다고 느끼는 감상자의 마음에 균열을 내는 경험이 되기를 바란다.

한편 K3에는 보다 유쾌한 광경이 연출된다. 전시장 중앙에는 천장을 뚫고 바닥에 떨어진 듯한 거대한 운석 덩어리가 위치하는데, 부지불식간에 생겨난 이 무명의 덩어리는 중력 가속도를 이기지 못하고 깨진 모습이다. 갈라진 형태 사이로는 지구인들이 일상적으로 사용하고 불문율적으로 합의한 '별'이라는 기호를 띤 두 개의 물체가 관찰된다. 김홍석은 이번 개인전에 대해 다음과 같이 언급한다. "믿어 의심치 않았던, 그리고 당연하게 여겨지는 정의들을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표현해 기존의 인식을 변화시키는 것이 미술가의 책임이며 ‘미술은 무엇을 하는가?’에 대한 대답이다." 이처럼 작가는 한때는 별이었으나 현재는 하나의 돌에 지나지 않는 본체와, 그 내부에 보이는 별의 표상의 조화를 통해 실재적 존재와 해석적 존재의 개념을 뒤엉키게 만든다.


작가 소개
김홍석(b.1964)은 서울 출생으로 1987년 서울대학교 조소과를 졸업하고 독일 뒤셀도르프 쿤스트 아카데미에서 수학하였다. 현재 상명대학교 무대미술학과 교수로 재직 중인 그는 국내외 주요 기관에서 꾸준히 개인전과 그룹전을 가져왔다. 주요 전시로는 서울시립미술관 《우리가 모여 산을 이루는 이야기》(2023), 스페이스 이수 《속옷을 뒤집어 입은 양복과 치마를 모자로 쓴 드레스》(2023), 부산시립미술관 어린이갤러리 《많은 사람들》(2023), 문화역서울284 《나의 잠》(2022), 서울시립북서울미술관 ‘2019 타이틀 매치: 김홍석 vs. 서현석’ 《미완의 폐허》, 가나자와 21세기 미술관 《변용하는 집》(2018), 국립아시아문화전당 《달의 이면》(2017), 삼성미술관 플라토 《좋은 노동 나쁜 미술》(2013), 도쿄 모리미술관 《All You Need is LOVE》(2013), 국립현대미술관 《올해의 작가상 2012》(2012), 아트선재센터 《평범한 이방인》(2011) 등이 있다. 오쿠노토 트리엔날레(2017), 난징 국제 아트 페스티벌(2016), 요코하마 트리엔날레(2014), 광주비엔날레(2012), 리옹비엔날레(2009), 베니스비엔날레(2005, 2003) 등 다수의 대형 국제전에도 참여했다. 작가의 작품은 현재 미국 휴스턴 미술관, 캐나다 국립미술관, 호주 퀸즈랜드 미술관, 프랑스 컨템포러리 아트센터 르 콩소르시움, 일본 구마모토 미술관과 가나자와 21세기 미술관을 비롯하여 국립현대미술관, 서울시립미술관, 경기도미술관, 부산현대미술관, 포스코미술관 등에 소장되어 있다.

Installation Vi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