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1
/upload/exhibitions/6c28b6852fefe8184eabae76d1d31d3d.jpg
Kim Yong-Ik - 아련하고 희미한 유토피아
Distant and Faraway Utopia

Busan       Seoul   Hanok

Kim Yong-Ik 아련하고 희미한 유토피아
Distant and Faraway Utopia

March 15 – April 21, 2024

Introduction

Utopia was the Modernist dream. The dream that human reason, used and celebrated by the Enlightenment, will question nature, humanity, and the universe to establish new truths, and the development and progress of science and technology will lead us to utopia—that, ultimately, is the Modernist project. The project was partly realized, but its fruits were not evenly distributed, bearing catastrophic results such as class inequality among individuals and nations, imperialism, cannibal capitalism, and the destruction of nature. We are currently reckoning with this dark shadow. The endless war, terrorism, and climate crisis are a testament to the Modernist project’s failure.

Living through the age after the Korean War, I have been surrounded by material affluence unimaginable to me as a child. I am addicted to the sweet fruits of the Modernist project. I cannot live without my phone, computer, and car.

Utopia means the dream of the Modernist project. Feeling it as distant shows the lingering aspiration for this dream; nonetheless, it also connotes that I am no longer able to hold on to this aspiration as the dream is fading away.
– Kim Yong-Ik[1]


The dispute surrounding the possibility or impossibility of the Modernist project—closely linked to ideology or partisan logic—has been continuously debated but today is growing more intense because of the ecological threats posed to humanity. While experts from numerous disciplines have actively laid out strategies and solutions, the same questions remain: what are the ways in which art responds to the matter at hand? If a solution exists, what would its characteristic traits or qualities be? Despite the position of art as far from direct or activistic, should its role not be to confront, constantly reflect on, and faithfully attest to reality? Kim Yong-Ik’s lifelong practice is rooted in these questions and deliberation on the essence of art. In his work process, Kim repeatedly dwells on this search, balancing bitter despair and small glimmers of hope, and embracing the tension between the two as the source of vigor that sustains his work.

Kukje Gallery is pleased to present Distant and Faraway Utopia from March 15 to April 21, 2024. His first exhibition in six years at Kukje Gallery, Kim’s third solo exhibition will be held simultaneously in both the gallery’s Busan and Seoul Hanok spaces. Showcasing 46 recent works dating from 2016 (19 works in Busan and 27 works in the Hanok), this marks a major public presentation of the artist’s recent Exhausting Project series, which allows us to trace together the trajectory and transition of the established “polka-dot painter.”

On December 31, 2018, the artist embarked on his new series titled Exhausting Project, in which he proposes to exhaust all the art supplies left in his studio, including various paints and colored pencils, during his remaining lifetime. For this project, Kim sections the canvas into small parts to evenly accommodate all colors, resulting in geometric compositions that meet the ‘low entropy’ lifestyle he has always pursued as an artist. The artist remains frugal with the use of materials in order to delay their exhaustion; for example, Kim devised a method to apply the paint in thin washes to the surface, creating a faint and unvaried effect. In other works, the brushstrokes are light while rough textures become more prominent to the eye.

Kim’s remaining lifespan and the time available to him as an artist to expend all his supplies will not realistically coincide, but the artist still dreams of this unlikely intersection, which is the simultaneous ending of art and life. This desire sprouts from his pursuit of ecologically functioning works where the interplay between the individual and the environment unfolds together, rather than him creating a finished and packaged entity, presented solely for visual appreciation. “Art-becoming-life” has been a core theme throughout Kim’s entire career and practice; Kim is known for his belief that art is situated in an undefinable process of constant change, as exemplified in his drawings—a medium entangled with life that Kim uses consistently—and in his public art projects that began in 2000. Thus, working within the realm of fine art, Kim attempts to deconstruct prevailing hierarchies and paradigms produced by dichotomies, creating works that challenge the dominant traits of Modernist practice. Describing his work, the art historian Eun Young Jung commented that the ‘post-art drive’ for Kim is not a destructive drive to destroy or cease art itself, but a force to enliven art by embracing entropy and the path towards death inherent in life.[2]

Underlying the formal characteristics of the Exhausting Project is Kim's interest in the broader principles of cosmic change. The well-known Chinese philosophical text, the Book of Changes (or I Ching; 周易), labels opposing pairs of all objects and phenomena—such as heaven and earth, sun and moon, strong and weak, high and low—into yang and yin, and elucidates the principles of change based on their positions or states. In the current context where the Modernist project has failed in many aspects, Kim seeks an alternative in Eastern thought or philosophy, particularly drawing wisdom from the Book of Changes, for insights on overcoming the present crisis. In Kim’s Exhausting Project, the geometric shapes depicted on paper or canvas either take the form of the hexagram (卦)[3], a symbol made to suggest the direction for the future in the Book of Changes, or consist of circles and squares borrowed from Cheonwon Jibang (天圓地方), which translates as "Heaven is round, Earth is square," a fundamental concept in traditional Chinese cosmology.

Kim’s reference to Eastern philosophy reflects an effort to contemplate contemporary life and culture, and to ensure that art, however reconfigured, survives. Particularly, the recent pandemic experienced by humanity has catalyzed a shift in his artistic practice. According to the artist, the pandemic represents one of the consequences brought about by humanity’s excessive focus on growth, progress, and development—the dire consequences also including social unrest stemming from severe class inequality, terrorism and wars caused by national conflicts, and the looming climate crisis that threatens humanity's survival. The artist insists that the modern world facing these crises is the Later-Heaven (後天) era, which requires Joyang (調陽), meaning the temperance of the yang (such as progress and development, and competition and dominance) to foster the yin (such as care and service, and friendship and equality), thereby balancing yin and yang.[4] In response, Kim attempts to depict equilibrium and harmony between the yin yang, by arranging squares on the canvas that symbolize the earth alongside nine circles representing the sky and directions.

While the exhibition presents the significance of Kim Yong-Ik's latest work, the Exhausting Project, it also highlights that the new series remains as an extension of his previous works by exploring how he has created ruptures through the consistent variations of his polka-dot paintings in order to challenge the symbolism of Modernism. This connection is vividly presented in his installation, The Polka-dot Painter Is Not Guilty of His Transformation? (2023), placed in the center of Kukje Gallery Busan. In this work, two canvases, each in a negative format with inverted images of polka dots, are attached and framed. Two versions of this kind stand leaning against each other on the ground, allowing viewers to appreciate them as if they were sculptures. On the left-side canvas of each work, the Exhausting Project composition is prominently displayed in between the inverted polka dots. As the title suggests, although the artist seeks transformation from being a polka-dot painter, it shows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gap between his previous works (referring to the series prior to the Exhausting Project) and his new works.

Other works on display in the gallery’s Busan space, such as Distant Utopia #17-2 (2017), Invaded Utopia #17-9 (2017), and This is not the answer #18-10 (2018), show imagery of discolored, overlaid, and damaged dots, reminding the viewer not only of Kim’s effort to create a mark of ‘imperfection’ on the authoritative surface of Modernist painting, but also of his continued inquiries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art and life and art’s sustainability. These images are charged with emotions such as nostalgia, longing, and sadness derived from his self-realization that perhaps a critical stance alone falls short of an escape from the persistent influence of modern civilization. Notably, Incomplete Despair 22-1 (2016-2022) reveals a rather ‘modest’ approach of the artist, who has covered the painting with black paint gridded in a plaid pattern that allows glimpses of the pre-existing work still visible beneath. Meanwhile, the gallery’s Seoul Hanok presents Modest Affirmation (or Denial) of the Possibilities of Art (2022)—a series conceived as part of the Exhausting Project—a work with thinly applied acrylic paint on paper which contains tiny letters written by Kim within the narrow margin created by the dripping of transparent gloss medium. By accentuating the artist’s ‘modest’ introspection that straddles affirmation and negation of art, the series illuminates Kim’s philosophy, which should not be mistaken for nihilism, but rather seen as a concept based on self-negation—ultimately aimed at self-renewal. It is this modest proposal that serves a significant role in his oeuvre.

Adopting modesty as a place of power, Kim has expanded the definition and potential of art, life, and the gap he strives to bridge, struggling ‘in any case’ to remain within the sphere of art. By highlighting this journey, the exhibition Distant and Faraway Utopia provides a multivalent insight into Kim’s exploration of the dream of a Modernist utopia he himself attests to, the sense of nostalgia and despair evoked as it fades out into a disappearance, as well as the new direction that art should take, moving forward.


About the Artist
Kim Yong-Ik was born in Seoul, Korea, in 1947, and received his B.F.A. and M.F.A. in Painting from Hongik University. He co-founded the Alternative Space Pool in 1999 and served as its representative from 2004 to 2006. From 1991 to 2012, he worked as a professor in the painting department at Kyungwon University, engaging in art education for many years. Kim’s major solo exhibitions include To the Last Generation, Kim Yong-Ik (Art Archives, Seoul Museum of Art, Seoul, 2023); Speaking of Latter Genesis (Tina Kim Gallery, New York, 2019); This is not the answer (Barbara Wien Galerie, Berlin, 2019); Endless Drawing (Kukje Gallery, Seoul, 2018); and Closer...Come Closer... (Ilmin Museum of Art, Seoul, 2016). He has also participated in numerous domestic and international group exhibitions and biennales, including the 5th Yokohama Triennale (Japan, 2014); SeMA Gold 2012: Hidden Track (Seoul Museum of Art, 2012); the Geumgang Nature Art Biennale (Korea, 2010); Jack-of-all-trades: Korean Historical Conceptual Art 1970-80s (Gyeonggi Museum of Modern Art, 2010); and After the Grid (Busan Museum of Art, 2002), among others. His works are included in the collections of the Gyeonggi Museum of Modern Art, Kumho Museum of Art,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MMCA), Daejeon Museum of Art, Busan Museum of Art, Seoul Museum of Art (SeMA), Ilmin Museum of Art, Tokyo Metropolitan Art Museum, M+ Hong Kong, Los Angeles County Museum of Art (LACMA), Los Angeles Museum of Contemporary Art (MOCA), and many others.
 
[1] Artist’s statement (January 19, 2024).
[2] Excerpt from Eun Young Jung's presentation at the seminar "Post-ism Drive,” in the context of To the Last Generation, Kim Yong-Ik, a solo exhibition of the artist (October 5, 2023, Art Archives, Seoul Museum of Art, Seoul, Korea).
[3] The 64 characters in Eastern philosophy. Each character is constituted of six lines that symbolize yin and yang.
[4] Joyang Yul-eum (調陽律陰) meaning "tempering yang and activating yin" refers to the worldview introduced in Jungyeok (正易). Jungyeok is cosmology, advocated by Kim Hang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 written with an independent understanding of the principles of the Book of Changes. Additionally, the concept of Later-Heaven Gaebyeok (後天開闢) represents a core belief of Donghak, which emerged in the late Joseon period, signifying the "opening of a new sky.”
“유토피아는 모더니즘 프로젝트의 꿈이었다. 계몽주의로 각성된 인간의 이성이 자연과 인간, 그리고 이 세계를 탐구하여 새로운 사실들을 발견하고, 이를 통하여 과학과 기술의 발전과 진보가 인류를 유토피아로 인도할 것이라는 꿈. 이것이 바로 모더니즘 프로젝트이다. 모더니즘 프로젝트의 일부는 실현되었지만 그것이 제공하는 달콤한 열매는 인류 모두에게 골고루 돌아가지 않았고, 개인과 개인, 국가와 국가 간의 계급의 격차와 제국주의, 제 살 깎아먹기 식의 카니발리즘적 자본주의, 자연의 훼손이라는 재앙적 결과를 초래했다. 우리는 지금 이 어두운 그림자를 목도하고 있다. 끊임없는 전쟁과 테러, 그리고 기후 위기는 모더니즘 프로젝트의 실패를 예증하고 있는 것이다.

나는 한국전쟁 이후 현대를 살아오면서 어릴 때는 상상도 못했던 의식주의 풍요함을 누리며 살고 있다. 모더니즘 프로젝트가 제공하는 달콤한 열매에 중독되어 있는 것이다. 휴대폰과 컴퓨터와 자가용 없이는 살 수 없는 삶을 살고 있다.

유토피아는 모더니즘 프로젝트의 꿈을 의미한다. 그것이 아련하게 느껴지는 것은 그 꿈에 대한 미련이 남아있음을 뜻하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제 그 미련을 더 이상 유지할 수 없을 만큼 그 꿈이 희미해지고 있음을 내포한다.” – 김용익[1]


이념이나 진영 논리와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던 모더니즘 프로젝트의 가능성 혹은 불가능성에 대한 논의는 최근 들어 인류 생존의 위협과도 직결된 만큼 꾸준하게 진행되어 왔다. 이에 각 분야의 수많은 전문가들이 적극적으로 대응책을 모색해온 것도 사실이다. 그렇다면 예술이 이에 대응하는 방식이란 과연 무엇일까? 만약 그런 것이 존재한다면 어떤 성격이나 태도여야 할까? 미술이 취할 수 있는 그 태도라는 것이 당연하게도 즉각성 혹은 적극성과는 거리가 멀겠지만, 그럼에도 현실을 직시하고, 끊임없이 성찰하고, 충실하게 증거하는 일이 그에 주어진 본연의 역할이 아닐까? 김용익의 평생에 걸친 작업은 이 같은 미술의 본질에 대한 질문과 고뇌에서 시작한다. 이러한 질문과 고뇌가 지속적으로 반복되는 일련의 작업과정에서 절망을 맛보기도, 작은 희망의 징후를 발견하기도 하는 그는 동시에 그 둘 사이의 긴장감이 자신의 작업을 지속시켜주는 힘의 원천이라 여기기도 한다.

국제갤러리는 오는 2024년 3월 15일부터 4월 21일까지 김용익의 개인전 《아련하고 희미한 유토피아》를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국제갤러리에서 2018년 이후 6년 만에 열리는 작가의 세 번째 개인전으로, 부산점과 서울 한옥 공간에서 동시에 선보인다. 2016년부터 최근까지의 근작 46점(부산점 19점, 서울점 한옥 27점)을 다루는 이번 전시는 작가가 최근 천착하는 ‘물감 소진 프로젝트’를 전시를 통해 본격적으로 소개하는 장이자, ‘땡땡이 화가’로 알려진 그의 작업이 전환을 맞이하게 된 여정을 함께 목도하는 기회가 될 것이다.

김용익은 지난 2018년 12월 31일을 기점으로 ‘물감 소진 프로젝트(Exhausting Project)’라는 제목의 새 연작을 시작했다. 현재진행형인 이 연작은 지금 작가에게 남아있는 물감, 색연필 등 회구(繪具)들을 그의 여생에 걸쳐 모두 소진(消盡)하는 프로젝트이다. 남아있는 회구를 색깔별로 골고루 소진하고자 화폭을 잘게 나누어 작업한 결과, 작품은 기하학적 도형의 모양을 띄며 김용익이 예술가로서 평생 추구해온 ‘저엔트로피(low entropy)적인’ 삶의 방식에 부합하는 형태를 드러낸다. 더불어 작가는 회구들을 최대한 오래 사용하고자 아껴 쓰기 때문에, 그의 회화 표면을 이루는 물감의 두께가 얇아 흐릿하거나 균일해 보이고, 때로는 붓터치가 그대로 드러나 가볍되 다소 거친 질감으로 표현되는 경향을 띤다.

한 사람인 김용익에게 남은 생의 시간, 그리고 작가인 그에게 주어진 회구의 소진 시간이 실제로 일치할 수는 없겠지만, 김용익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불가능해 보이는 예술과 삶의 일체화를 꿈꾼다. 결과물로 포장되어 보여지는 개체로 존재하는 작품보다는 개인과 환경이 상호 작용하는 동일한 카테고리 내에서 생태학적으로 기능하는 작업을 도모하는 이유도 바로 이것이다. 작가가 꾸준히 선보인 드로잉 작업이나 2000년에 처음 시작한 공공미술 프로젝트를 통해서 예술이 끊임없는 변화를 모색하고 정의 내릴 수 없는 과정 한가운데에 놓여 있음을 강조해 왔듯, ‘예술의 삶-되기’는 그의 작업 전반을 관통하고 있는 주제이다. 이처럼 김용익은 순수미술이라는 범주 안에서 이분법이 만들어내는 위계와 권력의 패러다임을 해체하고자 시도하며 모더니즘적 관행의 지배적 특성에 균열을 내는 작업을 지속해 왔다. 정은영 미술사학자는 이를 두고, 김용익에게 ‘탈예술 충동’이 예술 자체를 파괴하거나 소멸시키려는 파괴적 충동이기보다는 삶이 품고 있는 소멸의 과정과 죽음의 경로를 받아들임으로써 예술을 살리려는 추동력이 됨을 역설한 바 있다.[2]

기하학적 도형과 얇게 발린 물감 등 비교적 단순한 규칙을 따르는 듯 보이는 ‘물감 소진 프로젝트’의 조형적 특성 이면에는 보다 광활한 우주변화의 원리에 대한 김용익의 관심이 깔려 있다. 잘 알려진 중국의 철학 서적인 『주역(周易)』은 하늘과 땅, 해와 달, 강한 것과 약한 것, 높은 것과 낮은 것 등 상대되는 모든 사물과 현상을 양과 음, 두 가지로 구분하고 그 위치나 생태에 따른 변화의 원리를 설명하는 고서이다. 김용익은 여러 방면에서 모더니즘 프로젝트가 실패하였음이 증명되는 현시점에 이에 맞설 대안을 찾아 동양 사상이나 철학으로 시선을 돌리고, 특히 『주역』이 전하는 현재의 위기를 극복하는 방법에 대한 지혜를 구한다. ‘물감 소진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종이 혹은 캔버스 위에 그려진 기하학적 도형들은 실제 『주역』이 미래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해 상징적으로 만든 괘(卦)[3]의 형태를 차용하거나, 중국의 전통 우주론의 바탕이 되는 천원지방(天圓地方), 즉 “하늘은 둥글고 땅은 모나다”의 개념에서 빌려온 원과 사각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김용익이 동양의 철학이나 이론을 참조하는 것은 현대의 삶과 문명을 성찰하고 예술이 그에 걸맞은 형태로 존재하여 살아남도록 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볼 수 있다. 무엇보다 최근 전인류가 겪은 팬데믹 상황이 그의 작업의 방향 전환을 촉진했다. 작가에 따르면 팬데믹은 인류가 그간 성장, 진보, 발전의 가치에 몰두하며 스스로 초래한 결과물 중 하나인데, 극심한 빈부격차가 빚어낸 계급 간 불평등으로 인한 사회의 불안, 나라와 나라 간의 불화가 야기한 테러와 전쟁, 인류의 생존을 시한부로 몰아가고 있는 기후 위기도 이에 포함된다. 작가는 이러한 위기의 상황에 직면한 현대가 진보와 발전, 경쟁과 지배와 같은 양의 가치를 조금 진정시키고(조양調陽) 돌봄과 섬김, 우애와 평등과 같은 음의 가치를 들어올려 양과 맞추는 율음(律陰)이 요구되는 후천(後天)시대임을 피력한다.[4] 그리고 캔버스 위에 땅을 상징하는 네모와 하늘과 방위를 상징하는 아홉 개의 원을 배열하여 음과 양의 균형과 조화를 드러내고자 시도한다.

김용익의 신작 ‘물감 소진 프로젝트’에 담긴 의미를 소개하는 이번 전시는 또한 그가 어떻게 ‘땡땡이’ 작업의 꾸준한 변주를 통해 모더니즘의 상징에 균열을 만들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물감 소진 프로젝트’가 기존 작업의 연장선상에 있음을 강조하고자 한다. 부산점의 전시장 한 가운데에 설치된 〈땡땡이 화가의 변신은 무죄?〉(2023) 연작이 이를 가장 극명하게 보여주는데, 각각 땡땡이의 이미지를 반전시켜 네거티브 형식으로 그린 두 캔버스를 이어 붙인 후 프레임을 씌워 제작한 두 작품을 전시장 바닥에 서로 기대어 세워놓아 마치 조각 작품처럼 감상할 수 있게끔 했다. 각 작품의 좌측 캔버스에는 반전된 땡땡이 이미지 사이로 ‘물감 소진 프로젝트’ 작업이 고스란히 드러난다. 작품의 제목이 말해주듯 작가는 땡땡이 화가에서 변신을 꾀하였지만, 결국은 근작(‘물감 소진 프로젝트’ 이전 연작을 의미)과 신작이 서로 크게 동떨어져 있지 않음을 보여준다.

이외에 부산점에 설치된 〈아련한 유토피아 #17-2〉(2017), 〈침범당한 유토피아 #17-9〉(2017), 〈이것은 답이 아니다 #18-10)〉(2018)과 같은 작업들은 변색되고 중첩되고 훼손당한 땡땡이의 이미지를 통해 작가가 모더니즘 회화의 권위에 ‘흠집’내는 작업만이 아니라 예술과 삶의 관계, 그리고 예술의 지속 가능성에 대한 고뇌를 이어 왔음을 상기시킨다. 여기에는 아련함, 슬픔, 그리움 같은 감정들이 베어 있는데, 모더니즘 문명을 비판만 하기에는 결단코 그 영향에서 벗어날 수 없다는 현실에 대한 자각에 기인하는 것들이다. 특히 〈절망의 미완수 22-1〉(2016-2022)의 경우 기존에 완성한 그림을 검정색 물감으로 덮되 완전히 덮어버리지 못하고 격자무늬로 덮는 ‘소심함’을 여실히 드러낸다. 한옥에서 선보이는 〈예술의 가능성에 대한 소심한 긍정(혹은 부정)〉(2022) 연작은 ‘물감 소진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종이 위에 아크릴 물감을 옅게 칠한 후 윤이 나는 투명한 액체 재료를 무심하게 흘려 그 좁은 면적에 깨알 같은 글자들을 적어 내려갔다. 예술을 긍정도 부정도 하기 힘든 작가의 ‘소심한’ 성찰이 부각되는 연작으로, 여기에서 소심함은 허무주의가 아니라 자기 갱신을 위한 자기부정을 기반으로 하기에 김용익의 작업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이번 전시는 김용익이 예술과 삶의 간극을 줄이고자 소심함을 무기로 ‘어쨌든’ 예술 안에 머물고자 고군분투하며 새로운 답들을 찾아가는 여정과 다름없다. 이를 통해 그가 스스로 증거하는 모더니즘 프로젝트가 꿈꾸었던 유토피아의 아련함과 그 꿈이 희미하게 사라져가는 데에 대한 절망, 그리고 앞으로의 예술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입체적으로 고찰해볼 수 있기를 권한다.


작가 소개
김용익은 1947년 서울에서 태어나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에서 학사와 석사 학위를 받았다. 1999년 대안공간 풀의 창립에 참여하고 2004년부터 2006년까지 대표를 역임하였으며, 1991년부터 2012년까지 경원대학교 회화과 교수로 재직하며 미술교육자로 오랜 기간 활동했다. 주요 개인전으로는 서울시립 미술아카이브 《라스트 제너레이션에게, 김용익》(2023), 뉴욕 티나킴갤러리 《후천개벽을 말하다》(2019), 베를린 바바라 빈 갤러리 《이것은 답이 아니다》(2019), 국제갤러리 《엔드리스 드로잉》(2018), 일민미술관 《가까이... 더 가까이...》(2016) 등이 있으며, 제5회 요코하마 트리엔날레(2014), 서울시립미술관 《SeMA 중간허리 2012: 히든 트랙》(2012), 금강자연미술비엔날레(2010), 경기도미술관 《1970-80년대 한국의 역사적 개념미술: 팔방미인》(2010), 부산시립미술관 《그리드를 넘어서》(2002) 등 국내외 주요 단체전과 비엔날레에 참여했다. 경기도미술관, 금호미술관, 국립현대미술관, 대전시립미술관, 부산시립미술관, 서울시립미술관, 일민미술관, 도쿄도 미술관, 홍콩 M+, 미국 로스앤젤레스 카운티 미술관(LACMA), 로스앤젤레스 현대미술관(MOCA) 등 다수의 주요 기관에 작품이 소장되어 있다.
 

[1] 작가의 말, 2024.01.19.
[2] 《라스트 제너레이션에게, 김용익》 전시연계 세미나 〈탈-이즘의 충동〉 (2023.10.05, 서울시립 미술아카이브)에서 발췌.
[3] 동양 철학에서 음과 양을 상징하는 줄을 어울리게 놓아 만든 예순 네 가지의 글자.
[4] ‘양을 조절하고 음을 활성화시킴’을 뜻하는 조양율음(調陽律陰)은 정역(正易)이 소개하는 세계관으로, 정역은 조선후기 김항이 『주역』의 원리를 독자적으로 이해하여 주창한 역학사상이다. 또한 후천개벽(後天開闢) 사상은 조선 말엽에 등장한 동학의 핵심 사상으로 ‘새로운 하늘이 열림’을 의미한다.

Installation Vi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