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1
/upload/exhibitions/5f2998d947bd85c81e5cacdd3dba665d.jpg
Ahn Kyuchul - Twelve Questions
열두 개의 질문

Busan  

Ahn Kyuchul Twelve Questions
열두 개의 질문

August 22 – October 19, 2025

Introduction

Kukje Gallery is pleased to present Ahn Kyuchul’s Twelve Questions, a solo exhibition on view at the gallery’s Busan space from August 22 to October 19, 2025. Ahn's last exhibition at the same venue in 2021 marked the conclusion of his long teaching career and the beginning of a new chapter, fully devoting himself to his artistic practice. Twelve Questions highlights Ahn’s creative path after this turning point, offering an opportunity to reflect on the passage of time and the artist’s sustained rhythm of work and contemplation.

Over the course of the past four years, the artist has maintained his own rhythm: steadily producing work, preparing exhibitions, and writing every day. At the same time, Ahn has been engaging with a broader audience by showcasing variations of the existing series in multiple exhibitions, including How To Archive (2023), a group exhibition at Gyeongnam Art Museum, featuring an extensive presentation of drawings created during his studies in Germany in the 1990s; and Architecture Becomes Art (2023) at the Cheongju Museum of Art, presenting 56 Rooms (2023), a new version of his renowned Room series, draped in white cloth. Beginning each day with writing on paper has been Ahn’s morning ritual. After publishing The Other Side of Things (2021), which coincided with his previous Busan exhibition, he has continued to shape a solid artistic world of his own, working across both art-making and writing, with later publications Ahn Kyuchul: Questions (2024) and The One Who Speaks of Shadows (2025).

In 2024 alone, Ahn presented over fifty new works across two solo exhibitions and two institutional group shows. Among them, Ahn Kyuchul: Questions―Landscape Without Horizon at Space ISU in Seoul featured paintings and text-based works that exemplified his method, defining his practice as a series of questions about the world and life. Later that year, Ahn Kyuchul Multiplied at Amado Art Space in Seoul was a solo show conceived as a group exhibition, presenting twelve different versions of the artist, each offering distinct gestures and voices to challenge the notion of a fixed identity of an artist. Among these varied selves of the artist—a writer, a painter, and a joker, yet they ultimately converge into a single figure: Ahn Kyuchul as a “questioning being.” Yet that one identity is never fixed; it constantly disperses and reconfigures itself. Across the two solo exhibitions held just three months apart, the artist revealed a quiet yet resolute journey that involved venturing into unfamiliar terrain, embracing moments of failure and frustration, and relentlessly pushing beyond the limits of his own existence.

Twelve Questions at Kukje Gallery Busan brings together key works from these two exhibitions, offering a concentrated lens of Ahn’s recent practice. Works on view include Tilted Seascapes (2024), three paintings of tilted horizon; Aphorism in Foreign Languages (2024), featuring sentences written in indecipherable foreign scripts; Walking Man (2024), his first animation; and Falling Chair – Homage to Pina (2024), a single-channel video documenting a performance by Ahn himself. Also on view are works less familiar than his large-scale installations, yet revealing another dimension of his practice, such as performance photographs and a series of bronze sculptures from the 1990s exploring the subject of houses.

Ahn mentions, “Rather than becoming a peculiar or eccentric artist, I want to become an artist who simply does what is given—like how the sun rises when morning comes. Perhaps, by living that way, I might come to be a truly special artist.”[1] For Ahn, art is not achieved through grand declarations or fleeting inspiration. Instead, it slowly emerges from the unconscious rhythm of repetition—through daily observation, writing, and questioning. The phrase “what is given,” as Ahn describes it, refers to an artistic attitude embedded in the cadence of everyday life. Through such constancy and sincerity, he believes that something truly exceptional may arise—not by chance, but through time and patience.

Thus, Twelve Questions embodies the artist’s enduring ethos—quietly revealing the contours of Ahn’s forty-year journey as someone who has lived by questioning. It is also an invitation to follow the traces of contemplation left behind by the many Ahn Kyuchuls, and to listen closely, one question at a time, in quiet reflection.


About the Artist
Ahn Kyuchul (b. 1955, Korea) was born in Seoul and graduated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in 1977 with a BFA in Sculpture. From 1980 to 1987, he worked as a journalist for Art Quarterly and joined the artists’ collective Reality and Utterance in 1985. In 1987, he moved to France to continue his studies, later relocating to Germany in 1988 to study at the Staatliche Akademie der Bildenden Künste Stuttgart. After returning to Korea in 1995, he served as a professor at the School of Visual Art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rts, from 1997 to 2020.

Major solo exhibitions include Ahn Kyuchul Multiplied at Amado Art Space, Seoul (2024); Ahn Kyuchul: Questions―Landscape without Horizon at Space ISU, Seoul (2024); 5 Houses and 30 Doors – Imaginative Artist Ahn Kyuchul at the National Asian Culture Center, Gwangju (2023); Invisible Land of Love at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Seoul (2015); All and but Nothing at HITE Collection, Seoul (2014); and Forty-Nine Rooms at Rodin Gallery, Samsung Museum of Art, Seoul (2004).

Ahn has also participated in numerous group exhibitions at major institutions and biennales, including Drawing, Portraying the Philosophy of Life at Seoul Olympic Museum of Art, Seoul (2024); Memory, Stare, Wish at Gyeonggi Museum of Modern Art, Ansan (2024); How to Archive at Gyeongnam Art Museum, Changwon (2023); Architecture Becomes Art at Cheongju Museum of Art (2023); On Collecting Time at Nam June Paik Art Center, Yongin (2023); Beyond The Scene at Tot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Seoul (2022); Seven Moons at Clayarch Gimhae Museum (2021); The Better Man 1948-2020: Pick Your Representative for the National Assembly at Ilmin Museum of Art, Seoul (2020); and A Cross-Section of Modern Korean Sculpture at Seosomun Shrine History Museum, Seoul (2019).
 

[1] Ahn Kyuchul, Ahn Kyuchul: Questions (Seoul: Workroom Press, 2024), 213.
국제갤러리는 오는 8월 22일부터 10월 19일까지 부산점에서 안규철의 개인전 《열두 개의 질문》을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4년 전 부산점에서 오랜 교직 생활을 마무리하고 전업 작가로서의 여정의 시작을 알린 이후 작가의 예술적 궤적을, 작업과 사유를 쉼 없이 이어온 작가의 시간을 돌아보는 자리이다.

그동안 안규철은 한결같은 태도로 꾸준히 작품을 만들고, 전시를 준비하고, 매일같이 글을 써왔다. 독일 유학 시절인 1990년대에 제작한 드로잉을 대거 전시한 경남도립미술관 《아카이브 리듬》(2023)에 이어 청주시립미술관 기획전 《건축, 미술이 되다》(2023)에서는 흰 천으로 덮인 〈56개의 방〉(2023)을 통해 '방' 시리즈의 새로운 변주를 선보이며 관객과의 지속적인 접점을 만들었다. 한편, 매일 아침 글쓰기로 하루를 시작하는 작가는 지난 부산 전시에 맞춰 출간된 『사물의 뒷모습』(2021)의 후속작으로, 『안규철의 질문들』(2024), 『그림자를 말하는 사람』(2025)을 펴냄으로써, 미술과 글쓰기를 병행하는 작가로서 독자적인 영역을 구축해왔다.

2024년에 안규철은 두 차례의 개인전과 두 차례의 미술관 기획전을 통해 50여 점이 넘는 신작을 발표하며 한 해를 숨 가쁘게 보냈다. 그 중 스페이스 이수에서 열린 《안규철의 질문들―지평선이 없는 풍경》에서 작가는 자신의 미술은 세계와 삶에 대한 질문이라고 정의하며, 그 질문의 방법을 예시하는 회화와 텍스트 작업을 선보였다. 이어 아마도예술공간에서 개최된 《12명의 안규철》은 개인전이면서 그룹전처럼 기획된 전시로, 서로 다른 열두 명의 안규철을 등장시켜 각기 다른 몸짓과 언어를 제시하면서 작가의 고정적 정체성에 이의를 제기한다. 글을 쓰는 사람, 그림을 그리는 사람, 실없는 농담을 던지는 사람 등 다양한 자아들이 등장하는 가운데, 이들은 그럼에도 결국 ‘질문하는 존재’로서의 하나의 안규철로 수렴된다. 다만 그 ‘하나’는 언제나 흩어지고 재구성되는, 고정되지 않는 정체성이다. 지난해에 석달 간격으로 잇달아 열린 두 전시를 통해 작가는 익숙한 방식을 벗어나 낯선 지대로 스스로를 던지고, 실패와 좌절을 감수하며 존재의 경계를 넘어서려는 고요하고도 단호한 여정을 보여주었다.

이번 국제갤러리에서의 개인전 《열두 개의 질문》은 앞선 두 전시에서 선보인 주요 작품들을 중심으로 작가의 최근 작업 세계를 집약해 소개한다. 기울어진 지평선을 담은 회화 〈세 개의 수평선〉(2024), 알 수 없는 외국어로 쓰인 문장들을 그려낸 〈외국어로 된 열두 개의 잠언〉(2024), 처음 시도한 애니메이션 〈걷는 사람〉(2024), 그리고 작가가 직접 퍼포먼스를 펼친 싱글 채널 비디오 〈쓰러지는 의자 – Homage to Pina〉(2024) 등이 이번 전시에 포함된다. 이외에도 1990년대에 제작된 퍼포먼스 사진 작업과 집을 주제로 제작된 조각 연작 등, 대규모 설치 작업에 비해 그간 소개가 적었던 작가의 다양한 작품들이 함께 전시된다.

안규철은 “특별하고 별난 미술가가 아니라, 아침이 오면 해가 뜨는 것처럼 당연한 일을 하는 미술가가 됨으로써 특별한 미술가가 될 수 있을지 알아보려 한다”[1] 고 말한다. 이는 예술이 거창한 선언이나 단발적인 영감으로 완성되는 것이 아니라, 무의식적인 반복과 관찰, 글쓰기, 질문과 같은 일상의 리듬 속에서 조용히 드러난다는 작가 자신의 신념을 반영한다. 안규철이 말하는 ‘당연한 일’은 곧 매일의 관찰, 매일의 글쓰기, 매일의 질문처럼, 삶의 리듬에 녹아 든 예술가적 태도를 뜻한다. 작가는 그런 꾸준함과 성실함을 통해, 우연이 아닌 인내와 시간의 축적 속에서 비로소 특별함에 다다를 수 있다고 믿는다.

《열두 개의 질문》 역시 이러한 작가적 태도가 귀결된 전시로, 40여 년간 일관된 시선으로 세계를 바라보며 ‘질문하는 존재’로 살아온 안규철의 여정, 그 질문과 사유의 윤곽이 조용히 드러나는 자리다. 나아가 ‘n명의 안규철’이 남긴 사유의 흔적을 따라 그 질문 하나하나에 천천히 귀 기울이는 시간이 될 것이다.


작가 소개
안규철(b. 1955, 한국)은 서울에서 태어나 1977년 서울대학교 조소과를 졸업했다. 1980년부터 1987년까지 『계간미술』 기자로 일했으며, 1985년에는 ‘현실과 발언’ 활동에 합류하였다. 1987년 유학을 위해 프랑스 파리로 떠난 뒤, 그 다음 해 독일로 이주하여 슈투트가르트 국립미술학교에 입학했다. 그곳에서 학부와 연구과정을 모두 마치고 1995년 졸업한 후 귀국해, 1997년부터 2020년까지 한국예술종합학교 미술원에서 교수로 재직했다.

주요 개인전으로는 《12명의 안규철》(아마도예술공간, 2024), 《안규철의 질문들―지평선이 없는 풍경》(스페이스 이수, 2024), 《5개의 집과 30개의 문 – 상상하는 작가 안규철》(국립아시아문화전당, 2023), 《안 보이는 사랑의 나라》(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2015), 《모든 것이면서 아무것도 아닌 것》(하이트컬렉션, 2014), 《49개의 방》(삼성미술관 로댕갤러리, 2004)이 있다. 이외에도 《드로잉, 삶의 철학을 그리다》(소마미술관, 2024), 《우리가, 바다》(경기도미술관, 2024), 《아카이브 리듬》(경남도립미술관, 2023), 《건축, 미술이 되다》(청주시립미술관, 2023),
《시간을 소장하는 일에 대하여》(백남준아트센터, 2023), 《Beyond The Scene》(토탈미술관, 2022), 《달: 일곱 개의 달이 뜨다》(클레이아크김해미술관, 2021), 《새일꾼 1948-2020: 여러분의 대표를 뽑아 국회로 보내시오》(일민미술관, 2020), 《한국근현대조각 100주년》(서소문성지 역사박물관, 2019) 등 다수의 단체전에 참가한 바 있다.
 

[1] 안규철, 『안규철의 질문들』, 서울: 워크룸프레스, 2024, 213쪽

Installation Vi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