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October 2020

Kyungah Ham Participates in the Asia Society Triennial: We Do Not Dream Alone

Artist: 함경아(Kyungah Ham)
Exhibition Dates: October 27, 2020 – February 7, 2021 
Exhibition Venue: throughout New York City, including Asia Society Museum, David Geffen Hall at Lincoln Center, and Times Square Arts
Website: https://asiasociety.org/triennial
One of Korea's foremost contemporary artists, Kyungah Ham will participate in the Asia Society Triennial (hereafter the Triennial). The inaugural edition of the Triennial, which brings together around forty artists, scientists, historians, policy analysts, and thought leaders from twenty-one countries, is the first to focus exclusively on works by contemporary Asian artists within the United States, aiming to promote greater interest and understanding of both Asian and Asian American identity within the larger American society. Organized around multiple venues across New York City with the primary exhibition located at the Asia Society Museum, Part I of the Triennial will remain open from October 27, 2020, through February 7, 2021, while Part II will take place from March 16 through June 27, 2021. 

Kyungah Ham will present seven works produced from 2016 to 2019, installed within Asia Society Museum, that come from her iconic embroidery series What you see is the unseen / Chandeliers for Five Cities. Based as much on her personal experiences as on acute observations of sociopolitical phenomena, Ham’s work explores how the mechanisms of power impact even the most minute aspects of our contemporary society, using various media including photography, installation, performance, and video. Ongoing since 2008, Ham has used embroidery as the basis for a multilayered work that entails a complex process including collaboration with anonymous people located in North Korea.

Widely known for its clandestine production process, the impetus behind Ham’s embroidery series came from a chance encounter on the street of her neighborhood with a propaganda flyer from North Korea. The small incident triggered Ham to think about unorthodox means of communicating with the people in North Korea—one of the most hermetic countries in the world—by using art as a medium. Ham began to collect news and images circulating on the internet and digitally processed them to render abstract, and often colorful, blueprints to be sent to North Korean embroidery artisans via middlemen. The fragments of digital information would be transferred to a medium most antithetical to their origin—the information byte by byte would be translated into stitch by stitch handwoven embroidery, the epitome of an analog, labor-intensive medium. A long-term project, shifts in world politics constantly impacted the process, often exposing these works to confiscation and demands for bribery, and at times resulting in the disappearance of the middleman. The dangers embedded in the process illustrate the reality that the two Koreas are facing—where physical travel is barred and ideological conflicts persist—and locates it within the bigger scheme of world history. Works from Ham’s series What you see is the unseen / Chandeliers for Five Cities are the results of a similar cross-border process. Instead of abstract imagery, however, this series depicts massive, ornate chandeliers on a dark background. Each chandelier atmospherically recalls grand architectural spaces, such as a palace or ceremonial center, and symbolically evokes Western hegemony and the desires, ideologies, and grand narratives that underlie them.

The Triennial, which holds a curatorial emphasis on highlighting the “power of art to resist our urge to silo during these uncertain times … [and to] suggest the possibility of the efficacy of micro-actions and human agency, of particular resonance now when governments and public institutions seem to fail us,” is anticipated to deliver a sense of much-needed solidarity to residents in the city via a wide range of art that employs diverse formats. 

About the Artist
Born in 1966 in Seoul, South Korea, Kyungah Ham currently lives and works in Seoul. She received her BFA in painting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and MFA from School of Visual Arts, New York. Ham has held solo exhibitions at prominent institutions and galleries, including Artsonje Center, Seoul (2009); Kukje Gallery, Seoul (2015); Carlier Gebauer Gallery, Berlin (2017); Pace Gallery, Hong Kong (2018); and Carlier Gebauer Gallery, Madrid (2019). Her works have been featured in group exhibitions at numerous institutions worldwide, such as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Seoul (1989, 1999, 2012, 2013, 2015, 2016, 2019); British Museum, London (2005); Museum Moderner Kunst Stiftung Ludwig Wien, Vienna (2010); Singapore Art Museum, Singapore (2011); Kunstmuseum, Bonn (2013); Kunsthalle Düsseldorf (2013); Leeum, Samsung Museum of Art, Seoul (2014); MKG Museum für Kunst und Gewerbe Hamburg (2018); Artspace, Sydney (2019); and Centre for Heritage, Arts and Textile, Hong Kong (2020). Ham has also participated in major international exhibitions including the 1st Yokohama Triennial (2001); the 4th Gwangju Biennial (2002); Prague Biennale 4 (2009); The 7th Tournai International Triennial (2011); the 4th Guangzhou Triennial (2012); the 7th Liverpool Biennial (2012), and the 10th Taipei Biennial (2016). Ham was the finalist for the 2016 Korea Artist Prize organized by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Korea and participated in the corresponding exhibition, 2016 Korea Artist Prize. Ham’s works can be found in the collections of Gyeonggi Museum of Modern Art, Ansan; the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Korea; Leeum, Samsung Museum of Art, Seoul; Seoul Museum of Art; Victoria & Albert Museum, London; and Uli Sigg Collection, Switzerland.

About Asia Society Museum
Asia Society Museum presents a wide range of traditional, modern, and contemporary exhibitions of Asian and Asian American art, taking new approaches to familiar masterpieces and introducing under-recognized arts and artists. The Asia Society Museum Collection comprises a traditional art collection, including the initial bequests of Mr. and Mrs. John D. Rockefeller 3rd, and a contemporary art collection. Through exhibitions and public programs, Asia Society provides a forum for the issues and viewpoints reflected in both traditional and contemporary Asian art and in Asia today.

Founded in 1956, Asia Society is a nonprofit, nonpartisan, educational institution based in New York with state-of-the-art cultural centers and gallery spaces in Hong Kong and Houston, and offices in Los Angeles, Manila, Mumbai, San Francisco, Seoul, Shanghai, Sydney, Tokyo, Washington, D.C., and Zurich.
함경아, 뉴욕 아시아 소사이어티 트리엔날레 참여
한국의 현대미술가 함경아가 첫 뉴욕 아시아 소사이어티 트리엔날레(Asia Society Triennial)에 참여한다. 21개국 출신 40여 명의 예술가와 과학자, 역사가, 정책 연구가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이번 트리엔날레는 동시대 아시아 작가들의 작품을 미국 내에서 집중적으로 조망하는 최초의 시도로 주목 받으며, 아시아 지역 및 아시아계 미국인의 정체성에 대한 미국 사회 내의 관심과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는 유의미한 기회로 회자되고 있다. 1부(2020년 10월 27일-2021년 2월 7일)와 2부(2021년 3월 16일-2021년 6월 27일)로 나뉘어 개최되는 이번 행사는 아시아 소사이어티 미술관과 뉴욕 내 다수의 장소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진행된다. 

함경아는 트리엔날레의 메인 공간인 아시아 소사이어티 미술관의 전시에서 대표작인 자수 프로젝트 중 <당신이 보는 것은 보이지 않는 것이다/다섯 도시를 위한 샹들리에>(2016-2019) 작업 총 7점을 선보인다. 2008년부터 현재까지 진행 중인 자수 프로젝트는 화려한 색채, 노동집약적 표면, 미학적 완성도로 표현되는 예술적 아우라의 이면에 보이지 않는 많은 이들의 노동과 과정의 변수가 응축된 작업으로 알려져 있으며, 뉴욕에서는 이번 트리엔날레를 통해 처음으로 소개된다. 

함경아의 자수 프로젝트는 어느 날 작가가 집 앞에서 북한의 선전 삐라를 우연히 발견하며 시작되었다. 작가는 역으로 북쪽의 폐쇄적인 국경 너머에 존재하는 불특정 대상들에게 전달할 예술적 메시지를 기획하게 된다. 그리고 남한의 최첨단 디지털화의 상징인 인터넷에서 수집한 문구와 이미지를 픽셀화된 이미지로 편집한 도안을 제작, 중개인을 통해 북한의 자수 공예가들에게 보낸다. 도안을 전달받은 북측 공예가들은 자수 작업 과정에서 도안의 이미지와 색채, 텍스트를 지속적으로 접한다. 그렇게 나뉘어진 조각에 수놓은 아날로그적인 작업이 완성되면 다시 중개인을 거쳐 작가의 손에 돌아오지만, 간혹 작업물이 검열 당국에 압류되거나 중개인이 행방불명이 되는 등 불가항력적 변수들이 돌출하기도 한다. 이런 지난한 과정이야말로 함경아의 자수 작품의 본질, 즉 이미지로 재구성된 작가의 예술적 기획이 보이지 않는 타자의 노동 행위를 통해 구체적인 작업으로 구현되고, 궁극적으로 물리적 단절을 넘나드는 소통의 매개체가 됨을 시사한다. <당신이 보는 것은 보이지 않는 것이다/다섯 도시를 위한 샹들리에> 연작은 함경아의 자수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샹들리에라는 구체적인 대상을 화면 중심에 배치한 대형 작업이 중심군을 이룬다. 화려한 크리스털을 통해 환영적 빛을 발하는 샹들리에는 그것이 걸려있던 실제 공간을 환기시키며 서구의 권력이나 욕망 혹은 이념과 거대담론을 상징한다. 

‘패권주의적 구조에 의해 갈라진 우리를 치유하고 개개인의 목소리를 드러내는 예술의 힘’을 환기하고자 하는 목표를 가진 이번 아시아 소사이어티 트리엔날레는 인류를 분열시키는 시스템과 권위주의에도 불구하고 다시금 우리를 연결하고 ‘꿈꾸기’를 가능하게 하는 예술의 힘에 대한 탐구를 다양한 형식으로 표출하며 뉴욕 시민들과 공감대를 형성할 것으로 기대된다. 

작가 소개
함경아는 1966년 서울에서 태어나 현재 서울을 기반으로 활동하고 있다. 서울대학교에서 회화과를 졸업하고 뉴욕 스쿨오브비쥬얼아트(SVA)에서 석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개인전으로는 서울 아트선재센터(2009), 서울 국제갤러리(2015), 베를린 카를리에 게바우어 갤러리(2017), 홍콩 페이스갤러리(2018), 마드리드 카를리에 게바우어(2019)가 있으며, 국립현대미술관(1989, 1999, 2012, 2013, 2015, 2016, 2019 외), 런던 영국박물관(2005), 비엔나 루드비히 현대미술재단 미술관(2010), , 쿤스트뮤제움 본(2013), 쿤스트할레 뒤셀도르프(2013), 삼성미술관 리움(2014), 함부르크 미술 공예 박물관(2018), 시드니 아트스페이스(2019), 홍콩 센터 포 헤리티지 아트 앤 텍스타일(2020) 등 유수의 기관에서 개최되는 단체전에 참여하였다. 또한 제1회 요코하마트리엔날레(2001), 제4회 광주비엔날레(2002), 제4회 프라하비엔날레(2009), 제4회 광저우트리엔날레(2012), 제7회 리버풀비엔날레(2012), 제10회 타이베이비엔날레(2016) 등 세계 각지에서 열리는 비엔날레에 꾸준히 참가하고 있다. 2016년에는 서울 국립현대미술관에서 주관하는 <올해의 작가상> 후보로 선정되어 《올해의 작가상 2016》전에 참여한 바 있다. 주요 소장기관으로는 국립현대미술관, 삼성미술관 리움, 서울시립미술관, 런던 빅토리아 앨버트 박물관, 울리 지그 컬렉션, UBS 컬렉션 등이 있다. 

아시아 소사이어티 미술관 소개
아시아 소사이어티 미술관은 아시아의 전통미술부터 근현대미술까지 포괄적으로 아우르는 전시를 꾸준히 선보이며, 아시아계 미국인의 예술작업 연구 및 신진 작가 발굴에 주력하고 있다. 아시아 소사이어티 미술관의 소장품은 존 D. 록펠러 3세 부부의 유산을 포함한 전통예술품과 동시대미술품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미술관은 전시와 공공프로그램을 통해 아시아 미술이나 아시아 지역의 주요 정치, 문화, 사회적 사안들을 전문가들과 함께 탐구하는 토론의 장을 제공해왔다. 이 모든 활동을 주도하는 아시아 소사이어티는 1956년 설립 이후 뉴욕을 기반으로 한 비영리, 비정치 국제 기관으로 미국과 아시아의 이해증진을 위한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홍콩과 휴스턴에 위치한 최첨단 문화공간과 전시 공간을 비롯해 로스앤젤레스, 마닐라, 뭄바이, 샌프란시스코, 서울, 상해, 동경, 워싱턴 D.C., 취리히 등 여러 대도시에서 지부를 운영 중이다.

[Source from the Asia Society Triennial press relea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