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December 2024

Forthcoming Exhibitions in 2025

Kukje Gallery is pleased to announce its exhibition schedule for 2025. The gallery’s program will commence with solo exhibitions dedicated to two artists who hold significant positions in the Korean art scene, starting from March 20, 2025. Seoul's K2 and K3 spaces will present a solo exhibition of the Korean contemporary artist Jae-Eun Choi, who has produced a rich body of works embodying her interest in nature as the source of life since as early as 1986, where she carried out a project involving burying pieces of paper in the ground as a means of materializing communication with the soil. In the spring of the new year, the gallery seeks to address urgent questions concerning the ecosystem through Choi’s work. The exhibition will highlight Choi’s lyrical landscape of nature comprising paintings based on natural elements of the forest and photographs that record real-time portraits of the sky, as well as the DMZ project that she has developed since 2015. As part of the agenda launched under the title of “Nature Rules,” the project promotes the restoration of the ecosystem within the DMZ based on “DMZ Ecological Forest Plan” produced by Choi. The exhibition plans to offer a closer look into her artistic method undertaken in the project. 

Concurrently, in March, the gallery will present a solo exhibition of Ha Chong-Hyun. In October of 2024, Art Sonje Center held a symposium dedicated to Ha as a preliminary research initiative for his upcoming solo exhibition at the institution, slated to open in 2025. As discussed through multidisciplinary perspectives at the symposium, Ha’s early works emerged out of dynamic experiments that unfolded in conjunction with the vicissitudes of a transformative era in Korea. Meanwhile, in the spring, Kukje Gallery will showcase Ha’s latest works. The exhibition will offer insights into the artistic practice of Ha, whose various experiments with materiality shaped his pictorial grammars that culminated in the artist’s singular method of the “bae-ap-bub” technique. By introducing Ha’s depiction of the field of contemporary painting, the exhibition aims to illuminate his prolific career as an artist who has forged a pioneering path in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art.

In late April, the gallery’s Busan outpost will present Yeondoo Jung’s first solo exhibition in the region, The Inevitable, Inacceptable, the artist’s first solo show with the gallery after the 2008 presentation in Seoul. In this exhibition, Jung explores the mischiefs of life, where things do not go as planned and acceptance becomes the only choice, presenting them through his unique perspective. Much like how blues music addresses sadness and self-pity while offering the solace of “it’s okay,” Jung embraces everyday challenges not with excuses but with self-mocking yet whimsical and delightful imagination. The artist visualizes ordinary ironies—things difficult to put into words, events that defy common sense, attempts that never seem to work, desires that could only be earnest wishes, and happenings that are bound to turn out as they did—into videos, sculptures, and drawings. The musical expressions and contingency found in the works are linked to the artist’s interpretation of ‘healing’ and ‘yearning,’ as this exhibition once again highlights Jung’s artistic talent of easing weight with lightness.

In June, Kukje Gallery’s K1 and K3 spaces in Seoul will present Painting after Painting (working title), a group exhibition of young painters organized by curator Sunghui Lee from HITE Collection. The exhibition addresses how young painters diagnose and explore symptoms of the era, engage with personal narrative and identity, as well as reflect socio-political sensibility in their work vis-à-vis the overflow of images and dismantled boundaries between mediums in contemporary art. The contested terrains of contemporary society confronting diverse concerns—including the rapid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 climate crisis, warfare, socio-political conflict and inequality, and gender issues—are fully reflected and refigured in the artists’ work. Informed by globalized visual experiences and sensitivities, today’s artists have referenced, appropriated, and re-interpreted a range of sources assembled across the era. In particular, as users of digital media, they translate visual language and sensory experience influenced by the Internet and social media through painterly means, while flexibly incorporating the breakdown of traditional boundaries between mediums into their work through multidisciplinary experiments.

In June, Kukje Gallery presents a group exhibition curated under the theme of “tradition” in its Hanok space. The Hanok building is the smallest in scale among the gallery’s exhibition spaces, but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gallery campus; perhaps as if tradition stays at the periphery of contemporary art but could be standing at the center of it, depending on the viewpoint. Starting from such a vantage point, the exhibition groups together the techniques that we had thought were lost in history, the ideologies that have quietly been embedded into contemporary every day, and the tales that have been forgotten. The presentation seeks to be an experimental platform portraying how tradition stays vibrantly alive today at the center of contemporaneity, shed of the layers of cliché that are easily associated with the notion of it.

In fall of 2025, Kukje Gallery's Seoul spaces will be dedicated to the solo exhibition of Louise Bourgeois. Recognized as one of the most influential artists of the past century, Louise Bourgeois worked in various media throughout her 70-year-long career, including drawing, sculpture, painting, printmaking, installation, and performance to produce a highly original vocabulary of forms. Her central themes are the fear of abandonment, sexuality, identity, and the relationship to the Other.

The season will also showcase the gallery’s first exhibition with Gala Porras-Kim. Persistently questioning the system of narrating and interpreting history, Porras-Kim pays attention to how intangible legacies are defined and regulated by artificial layers of contexts. The artist’s intervention into numerous institutions’ collections around the world brings forth new dialogue of ownership and intent. With this exhibition in Korea, Porras-Kim visualizes the arbitrary convention of assigning meaning to nature as a means of seeking to understand and control it.

Kukje Gallery also presents its first exhibition with painter Jang Pa. Frequently introduced as the “female grotesque,” Jang Pa’s work actively subjectifies and visualizes the senses that have historically been Otherized for being categorized as feminine. Here, the artist joyfully breaks free of the long history of violence embedded in the perspective of either denigrating the female body as inferior or objectifying it as something to be worshipped. Her first exhibition with Kukje Gallery will provide the audience a glimpse into the grammar of humor embraced within the women’s bodies and organs painted by Jang Pa, while also narrating the process of how the painter recontextualizes the numerous images and symbols of women that have been employed in various cultures throughout different layers of time and space around the world.

For the final project of the year 2025, Kukje Gallery presents a solo exhibition of Daniel Boyd. Grounded on the research on his own home ground roots, Boyd questions and challenges the preexisting romanticist notions dominated by the Eurocentric narration of history and seeks to restore the perspectives that are overlooked in such hegemonic historical discourse. His work cultivates a multiplicity of perspectives as the work itself defers any immediate delivery of a singular meaning. Likening the gaps of information that are generated in this process to the notion of darkness, the artist invites the viewers to fill and enlighten the dark void of the unknown with each of our knowledge and different backgrounds, leading the paintings to new horizons of meaning.
국제갤러리 2025년 예정 전시
국제갤러리는 오는 2025년 3월 20일부터 한국 미술계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두 미술가의 개인전으로 을사년의 문을 연다. 먼저 K2와 K3 공간에서 전시를 선보이는 현대미술가 최재은은 1986년부터 종이를 땅속 깊이 묻어 토양과의 상호작용을 물질화하는 등 생명의 근원으로서의 자연에 대한 관심을 작업으로 구체화해왔다. 다가오는 봄을 맞이하여 국제갤러리는 최재은의 작업세계를 통해 오늘날 우리가 직면한 긴급한 과제인 생태계에 대한 고민을 함께 풀어보고자 한다. 숲 속의 자연요소들이 만들어내는 회화와 하늘의 실시간 초상을 담은 사진 작업 등으로 자연의 서정적 풍경을 그리는 한편, 그가 2015년부터 진행해온 DMZ 프로젝트도 함께 소개한다. “자연국가(Nature Rules)”의 이름 하에 추진되는 이 프로젝트의 중심에는 작가가 직접 제작한 DMZ 생태 현황 분석도를 기반으로 해당 지역의 산림을 복원하는 작업이 자리하는데, 본 전시에서는 그 구체적 방법과 과정 등을 실질적으로 소개할 예정이다.  

같은 시기 K1과 한옥에서는 하종현의 개인전이 진행된다. 지난 10월 아트선재센터에서는 미술관이 2025년 개최 예정인 하종현 개인전의 사전 연구 프로그램으로서 심포지엄을 진행한 바 있다. 해당 심포지엄에서 다양한 관점으로 논의되었듯, 하종현의 초기 작업세계는 급변하는 한국사회의 시대상과 맞물려 역동적인 실험들로 다져진 결과물이었다. 한편, 내년 봄 국제갤러리에서의 개인전에서는 하종현이 오랜 세월 동안 도출해낸 가장 최근작들을 소개한다. 물성에 대한 초기의 다양한 실험 및 시도들이 회화적 문법으로 자리잡아 그만의 고유한 ‘배압법’으로 자리 잡았고, 이를 통해 작가는 오늘날의 회화의 장을 선보여왔다. 이번 개인전을 통해 우리나라 근현대미술의 새로운 길을 굳건히 개척해온 하종현 작업의 현재적 상태를 만나볼 수 있을 것이다. 

4월 말에는 부산점에서 정연두의 개인전 《불가피한 상황과 피치 못할 사정들》을 소개한다. 지난 2008년 서울에서의 개인전 이후 부산점에서 처음 선보이는 이번 전시에서 정연두는 삶에서 마주하는 뜻대로 되지 않는 일들과 어쩔 수 없이 받아들여야 하는 상황들을 그만의 독특한 시각으로 풀어낸다. 블루스 음악이 슬픔과 자기연민을 다루며 "그래도 괜찮아"라는 위안을 주듯, 작가는 일상의 숱한 난관들을 변명으로 회피하지 않고, 자조적이면서도 유쾌한 상상의 방식을 통해 받아들이고자 한다. 말로 표현하기 어려운 것들, 상식적으로 설명되지 않는 일들, 아무리 해도 잘 되지 않는 것들, 간절히 바랄 수밖에 없는 것들, 결국 그렇게 될 수밖에 없었던 일들. 작가는 이러한 일상의 모순을 영상, 조각, 드로잉 등으로 시각화하는데, 특히 작품 곳곳에 등장하는 음악적 표현과 우연성은 '치유'와 '염원'에 대한 해석을 담고 있다. 이번 개인전은 무거움을 가벼움으로 전환하는 작가 특유의 작품 제작 방식에 주목하는 전시로 기획될 예정이다.

6월에는 이성휘 큐레이터(하이트컬렉션 소속)가 기획하는 젊은 회화작가 그룹전 《회화 이후의 회화》(가제)가 서울점 K1과 K3에서 관람객을 만날 예정이다. 이번 전시는 이미지의 범람과 매체 경계의 해체라는 동시대 예술 상황 속에서 젊은 화가들이 시대적 징후를 어떻게 진단하고 탐색하며, 개인적 서사와 정체성을 탐구하거나, 사회·정치적 감수성을 작업에 투영하는지 등을 살펴본다. 급변하는 과학기술, 기후 위기, 전쟁, 정치적 대립과 사회적 불평등, 젠더 문제 등 다양한 이슈들을 대면하고 있는 시대적 상황은 작가들의 작업에 고스란히 반영된다. 오늘날 작가들의 글로벌화된 시각적 경험과 감각은 시대를 종횡하며 다양한 레퍼런스들을 참조, 전유, 그리고 재해석하게 했다. 특히 디지털 미디어의 향유자인 이들은 인터넷과 소셜 미디어의 영향을 받은 시각적 언어와 감각을 이미지로 표현하고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는 등 매체의 경계가 해체되는 흐름을 회화 작업으로 유연하게 수용해 동시대 예술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한다.

비슷한 시기, 서울점 한옥에서는 ‘전통’을 주제로 엮은 그룹전 《한옥 2025》가 열린다. 국제갤러리 한옥은 갤러리 내의 전시장들 중 규모는 가장 작지만, 위치적으로는 다른 모든 전시장의 중심에 자리하고 있다. 이는 전통이 현대문화의 주변에 머무는 것 같지만 관점에 따라 그 중심으로 자리할 수도 있다는 점을 시사하는 듯하다. 이러한 시각에서 출발한 《한옥 2025》는 단절된 듯 보이지만 오늘날까지도 이어지는 전통 기법, 또는 눈에 띄지 않게 현대 사회 속에 스며들어 있는 옛 사상, 잊힌 이야기 등을 한데 엮는다. 이번 전시는 ‘전통’이 그 상투성을 벗어나 동시대의 중심에서 어떻게 역동적으로 살아 숨쉬는지를 살펴보는 실험적인 기획전이 될 것이다.

9월경에는 루이스 부르주아의 개인전을 선보인다. 지난 70여 년간 조각, 드로잉, 회화, 판화, 설치와 퍼포먼스 등 다양한 매체를 넘나들며 고유한 시각언어를 구축해낸 루이스 부르주아는 다양한 차원에 걸쳐 큰 영향력을 발휘한 작가로 평가받는다. 부르주아는 유기에 대한 두려움, 섹슈얼리티, 정체성, 타자와의 관계 등에 대한 삶과 맞닿은 문제들을 보다 깊게 이해하기 위해, 이를 다채로운 형식의 작업으로 탐구했다. 

비슷한 시기 갈라 포라스-김의 첫 개인전도 진행된다. 역사를 서술하고 독해하는 과정에 내재된 제도에 대해 끊임없이 질문을 던지는 작가는, 여러 인위적인 맥락 하에서 무형의 유산이 규정되고 관리되는 방식에 집중한다. 그간 전세계 다양한 박물관 및 미술관과 협업해 그들의 소장품을 재해석하는 작업을 진행해온 작가는 지난해 국립현대미술관의 《올해의 작가상 2023》과 리움미술관에서의 전시를 통해 한국 관람객들에게도 이름을 알렸다. 2025년도 국제갤러리와의 첫 전시에서는 인간이 자연을 이해하고 통제해 보려는 시도로 자연에 임의적으로 혹은 자의적으로 의미를 부여하는 관습을 시각적으로 탐구할 예정이다. 

2025년 연말에는 장파의 개인전 역시 처음으로 개최된다. ‘여성적 그로테스크’라는 수사로 주로 소개되는 그의 작품은 역사적으로 타자화된 감각들, 즉 여성이라는 범주로 규정되어 대상화되어온 감각들을 적극적으로 주체화하고, 이를 자신만의 시각 언어로 구현한다. 여성의 신체를 비천한 것으로 폄하하거나 민망한 관음의 소재로 은폐하는가 하면, 숭배의 대상으로 물건화(objectify)해온 유구한 시선의 폭력성을 작가는 유쾌하게 탈피하고 전복한다. 국제갤러리와의 첫 전시에서는 그가 그리는 여성의 신체와 장기를 품은 유머의 문법을 통해 그동안 다양한 시공간의 문화권에서 등장한 여성의 도상이 재맥락화되는 과정을 살펴본다.

2025년의 마지막 전시로는 다니엘 보이드의 개인전이 마련된다. 작가는 자신의 생물학적 뿌리에 대한 주체적 연구를 기반으로 유럽 중심의 역사 서술이 지배해온 낭만주의적 개념을 경계하고 의심함으로써 일방적인 역사관이 놓친 시선을 복원한다. 보이드의 작업은 복수의 관점 및 시점을 장려하며 단일한 혹은 즉각적인 의미의 전달을 보류한다. 이 과정에서 정보의 사각지대가 생기기 마련인데, 이를 의식적인 어둠에 빗대기도 하는 그의 회화 앞에서 우리는 이를 각자의 지식, 배경, 상상력으로 채워 밝히며 새로운 의미의 가능성을 타개해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