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November 2025

Gimhongsok Participates in Suwon Art Space Gwanggyo Collaboration Project Our Set 2025: Gimhongsok × Kiljong Park

Artist: 김홍석(Gimhongsok)
Dates: March 25 – October 12, 2025
Venue: 수원시립아트스페이스광교 Suwon Art Space Gwanggyo in Korea
Website: https://suma.suwon.go.kr/exhi/past_view.do?lang=en&ge_idx=1242
Gimhongsok participated in the collaboration project Our Set 2025: Gimhongsok × Kiljong Park at Suwon Art Space Gwanggyo. An annual program that pairs artists from different genres since its launch in 2022, this year’s edition of Our Set highlighted the experimental media practices of Gimhongsok and Kiljong Park. Divided into four sections—“Running Time,” “Open Stage,” “Intermission,” and “Backstage”—the exhibition offered a glimpse into the artists’ shared landscape of imagination and playful wit through their works.

In the section “Open Stage,” Gimhongsok made visible the workings of power and social hierarchy through the invisible, positioning his practice as an interface in which diverse elements interact dynamically. Among the works on view, Oval Talk (2000, recreated in 2006–2007) is an installation that shifts its form depending on the viewer’s position and angle. The idea for this work was raised from the artist’s questioning of his own preconceptions of the sphere as a “perfect” form. Gimhongsok transforms this reflection into a mythic narrative, conveyed through a speaker placed inside the installation. The visual experience thereby extends to that of auditory, deepening its layered meaning. Other works on view included Solitude of Silences, Public Blank, MATERIAL (2014) which invites the viewers to explore the artist’s critical yet humorous exploration into the core themes of his practice—hierarchy, labor, and regulations.

“Intermission” introduced both artists together, presenting brief information and interview footage on their practices shaped by different times and environments. Gimhongsok’s Four Gracious Plants-231234 (2023) is an experimental work that dismantles the border between East and West. Using Western materials such as acrylic paint and modeling paste, the artist paints the Four Gracious Plants (plum blossom, orchid, chrysanthemum, bamboo; 梅蘭菊竹), which was long regarded as symbols of the virtuous man in East Asian culture. Not only does he reconstruct these motifs to blur the distinction between East and West, but he also attributes authorship to a fictional artist named “Kosnoh Mig” (an anagram from his own name). Grounded in his critical perspective from the periphery rather than the center of art, Gimhongsok fluidly repositions the subject of creation.

Our Set 2025: Gimhongsok × Kiljong Park moved beyond conventional modes of collaboration and focused on the artists’ experiments in expanding and redefining their respective mediums. By bringing social and artistic orders to the surface, the exhibition created a space for visitors to newly recognize the orders of objects.
김홍석, 수원시립아트스페이스광교의 협업 프로젝트 《2025 아워세트: 김홍석×박길종》 참여
김홍석 작가가 수원시립아트스페이스광교에서 박길종 작가와 함께 협업 프로젝트 《2025 아워세트: 김홍석×박길종》에 참여한다. 2022년부터 매년 진행되어온 ‘아워세트(Our Set)’는 서로 다른 장르의 작가들에게 협업을 제시하는 2인 프로젝트로, 올해는 김홍석과 박길종의 매체적 실험을 조망한다. 이번 전시는 ‘러닝타임(Running Time)’, ‘오픈 스테이지(Open Stage)’, ‘인터미션(Intermission)’ 그리고 ‘백스테이지(Backstage)’를 포함한 총 네 개의 섹션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양한 매체를 넘나드는 두 작가의 작품이 서로 상상력과 유쾌한 농담을 나누는 풍경을 엿볼 수 있다.

‘오픈 스테이지’에서 김홍석은 비가시적 장치들을 통해 권력의 작용과 사회적 위계를 가시화하며, 특히 본인의 작업을 다양한 요소들이 상호작용하는 인터페이스로 제시한다. 그 중 〈Oval Talk〉(2000, 2006–2007 재제작)은 관람자의 위치와 각도에 따라 형태가 달리 보이도록 제작된 설치작품이다. 이 작업은 원형 구를 완벽한 형태로 여기던 작가 자신의 고정관념에 대한 의문에서 시작되었다. 스스로 도달한 결론을 신화적 서사로 풀어내 작품 내부에 설치된 스피커를 통해 들려주는데, 이로써 시각적 경험을 넘어 청각적 차원까지 아우르며 다층적 의미를 전달한다. 이 외에도 〈침묵의 고독〉, 〈공공의 공백〉, 〈여덟 개의 숨〉(2014) 등을 통해 관객은 김홍석 작업 세계의 핵심 주제인 위계, 노동, 규율에 대한 비판적이고도 유희적인 탐구를 경험할 수 있다.

한편, 두 작가를 함께 소개하는 ‘인터미션’에서는 서로 다른 시대와 환경 속에서 작업해온 이들에 대한 간략한 정보와 함께 인터뷰 영상을 소개한다. 특히 김홍석의 〈사군자-231234〉(2023)는 동서양의 경계를 해체하는 실험적인 작품으로, 서구적 재료인 아크릴 물감과 모델링 페이스트를 사용해 동양의 전통적 소재인 군자(君子)를 상징하는 식물 매란국죽(梅蘭菊竹)을 그려낸다. 서양과 동양을 구분할 수 없도록 재구성할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코스노 믹(Kosnoh Mig)’이라는 가상의 작가를 창조하여 작품의 저자성을 타자에게 넘긴다.  예술의 중심이 아닌 가장자리에서 제시하는 특유의 비판적 사유를 기반으로 작가는 창작 주체의 위치를 유동적으로 재배치한다.

《2025 아워세트: 김홍석×박길종》은 기존의 협업 방식을 넘어 각자의 매체를 실험하고 확장하는 두 작가의 시도에 집중한다. 또한 사회적, 예술적 질서를 가시화함으로써 관람객으로 하여금 사물의 질서를 새롭게 인식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한다.

[Source: Our Set 2025: Gimhongsok × Kiljong Park website, provided by Suwon Art Space Gwanggyo]